ADVERTISEMENT

이주열 “경제회복 K자로 전개될 수 있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3면

이주열

이주열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향후 경제 회복 과정이 ‘K자 형태’로 전개될 수 있다는 우려를 표했다. K자형 회복은 부문·계층별로 회복 속도가 양극화되는 현상을 말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수습 국면에 접어들어도 정보기술(IT) 업종과 전통산업,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간 회복 속도 차이로 양극화가 심화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현재의 위기를 벗어나는 것도 중요하지만,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철저히 준비해야 할 시점이란 언급도 했다.

“소상공인·저소득층 소외 우려” #완화적 통화정책은 계속 유지

31일 이주열 총재는 2021년 신년사를 통해 “전통적 대면 산업을 중심으로 한 영세 소상공인이나 저소득층은 회복에서 계속 소외될 가능성이 높다”며 “한계기업 증가와 가계·기업의 레버리지 확대는 외부 충격에 대한 경제 주체의 대응력을 약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확장적 거시경제 정책을 통해 경기회복을 뒷받침하면서도 코로나19 영향으로 어려움을 겪게 된 취약부문의 회복을 앞당길 수 있도록 선별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취지다.

한은의 법적 책무 중 하나로 ‘고용 안정’을 명시해야 한다는 요구가 높아진 것에 대한 의견도 밝혔다. 이 총재는 “고용 안정은 지속가능한 성장을 뒷받침하고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인다는 점에서 통화정책을 운용할 때 마땅히 중요한 판단요인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상충 가능성이 있는 여러 목표를 두면 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어려운 만큼 국내외 연구결과 및 사례, 전문가의 의견을 경청해 우리 여건에 맞는 최적안을 도출하겠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새해에도 현재의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다만 현재 시장에 풀린 막대한 유동성이 자산시장으로 쏠리는 현상은 경계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이 총재는 “친환경·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이 더욱 빨라지는데 이러한 구조적 전환을 미래성장동력 확충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며 “민간의 창의성과 기업가정신이 최대한 발휘되고 일자리 창출 엔진 역할을 하는 신생기업이 생겨날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장원석 기자 jang.wonse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