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IMF “경기회복 속도 맞춰 재정건전성 강화해야”

중앙일보

입력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짓눌렸던 경제가 차츰 회복되는 과정에서 재정 건전성 회복에 힘을 기울여야 한다는 국제통화기금(IMF)의 조언이 나왔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과 IMF가 25일 공동으로 개최한 ‘2021 세계경제 전망, 팬데믹 시대의 예방과 재활’ 콘퍼런스에서다.

KIEP-IMF 공동 콘퍼런스 #KIEP, “내년 세계 성장률 5%” #“코로나 재확산, 백신 보급 변수”

국제통화기금(IMF) 본사 자료사진. [EPA=연합뉴스]

국제통화기금(IMF) 본사 자료사진. [EPA=연합뉴스]

안가나 바너지 IMF 아시아‧태평양 선임이코노미스트는 이날 “코로나19에 따른 재정 부양책 등으로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의 재정 취약성도 함께 커졌다”며 “공공 부문 부채의 지속 가능성도 훼손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의 경우 올해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은 43.9%로 사상 처음 40%를 넘을 전망이다. 이 추세로 나랏빚이 늘면 2045년 국가채무 비율이 99%까지 늘어날 수 있다는 게 정부의 전망이다.

바너지 이코노미스트는 “팬더믹은 여전히 진행 중이므로 경기 회복 속도에 맞춰 거시 건전성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며 “친환경·포용적 성장정책도 지속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IMF는 한국의 방역 정책과 경기 부양책에 대해선 긍정적인 평가를 했다. 바너지 이코노미스트는 “ 국가마다 서로 다른 속도로 완화되고 있는 봉쇄 조치가 경기 회복에 영향을 주고 있다”며 “한국의 경우 대규모 봉쇄 정책을 시행하지 않고도 적극적인 검사와 재정 부양책을 통해 코로나19가 경제 성장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2060년 GDP 대비 국가채무 전망. 박경민 기자

2060년 GDP 대비 국가채무 전망. 박경민 기자

이날 콘퍼런스에서 정인교 인하대 국제통상학과 교수는 “한국은 국가적 봉쇄 없이 바이러스의 전파 방지에 성공했으며, 다른 국가와 비교했을 때 코로나19 팬더믹이 경제적 공황을 야기하진 않았다”고 설명했다. 정 교수는 “한국은 2015년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를 계기로 전염병 확산 제지를 위한 신속한 대응의 중요성을 깨달았다”며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국민이 정부의 방역 지침을 비교적 잘 준수했기 때문에 격리 조치가 성공적으로 작동했다“고 덧붙였다.

이날 KIEP는 내년 세계경제 성장률을 5%로 예상했다. 안성배 KIEP 국제거시금융실장은 “2021년 세계경제는 침체로부터 다소 회복하면서 올해(-5.1%)보다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전 세계적인 코로나19 재확산은 경기 회복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안 실장은 “올해 11월 기준 전 세계 누적 확진자 수가 5500만명을 넘었다”며 “백신의 개발과 보급과 코로나19 재확산 여부가 세계경제 성장의 주요 리스크(위험)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하남현 기자 ha.namhy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