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중국 국채 몸값 고공행진…사상 첫 마이너스 금리로 발행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712호 14면

중국의 ‘미국 국채 다이어트’가 이어지고 있다. 5개월 연속 보유량을 줄이며 4년 7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미국 국채의 덫에서 벗어나기 위한 몸부림으로 풀이된다.

중, 미국 국채 5개월 연속 팔아 #일본 국채는 올해 26조어치 매수

미국 재무부에 따르면 중국이 지난 9월 62억2000만 달러(약 6조9309억원) 규모의 미국 국채를 팔았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지난 19일 보도했다. 5개월 연속 감소세가 이어지면서 중국이 보유한 미국 국채는 1조617억 달러(약 1184조원, 블룸버그 집계)로 줄었다. 2017년 2월 이후 가장 작은 규모다.

미·중 갈등이 커질수록 중국은 미국 국채 보유량을 줄이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이미 미국의 제1 채권자 지위를 일본(9월 미 국채 보유량 1조2762억 달러)에 넘겨줬다. 시쥔양(奚君羊) 상하이재경대 교수는 글로벌타임스 인터뷰에서 “중국은 점진적으로 미국 국채 비중을 8000억 달러(약 891조원) 아래로 줄여나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래픽=박춘환 기자 park.choonhwan@joongang.co.kr

그래픽=박춘환 기자 park.choonhwan@joongang.co.kr

3조1400억 달러(3499조원)에 이르는 중국 외환보유액에서 미국 국채의 빈자리를 채우고 있는 것은 일본 국채다. SCMP는 일본 재무성의 자료를 인용해 지난 9월 중국은 277억엔(약 2975억원) 규모의 일본 국채를 사들였다고 전했다. 그 결과 지난 1~9월 중국이 매입한 일본 국채는 2조4000억엔(약 26조원)에 이른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3% 급증했다.

최근 들어 눈에 띄게 줄긴 했지만, 중국의 달러 자산 비중 축소는 오래된 움직임이기도 하다. 중국이 외환보유액과 관련한 자세한 정보를 공개하지 않아 어림할 수밖에 없지만, SCMP가 최근 데이터를 종합한 결과에 따르면 중국 외환보유액에서 미국 달러 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1995년 79%에서 2005년 58%로 떨어졌다.

하지만, 중국 외환보유액에서 차지하는 달러 비중 축소를 달러와의 절연으로 간주하는 것은 과도한 해석이라는 것이 시장 전반의 분위기다. SCMP는 애널리스트들의 발언을 인용해 “중국의 미국 국채 보유량 감소가 미국 달러 표시 자산의 보유를 줄였다고 해석해서는 안 된다”며 “미국 국채 대신 주식이나 회사채와 같은 다른 달러 표시 자산을 매입했을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관타오 중국은행증권 수석 글로벌이코노미스트는 “중국 정부가 미 달러화 자산을 순매도하고 있지만 민간 부문은 여전히 순매수자”라며 “외국인 투자자가 미국 국채 보유 규모를 줄여가는 것을 미국 달러화 위상의 하락으로 평가하기에는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그럼에도 미국 국채의 몸값이 예전만은 못하다. 쌍둥이 적자에 시달리는 미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경기 침체를 완화하기 위해 돈을 풀면서 미국 국채의 몸값도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9월 기준 27조 달러 수준이던 미국의 총 국채 규모는 올해 말 30조 달러로 급증할 가능성이 있다.

반면 중국 국채의 몸값은 고공행진 중이다. 중국 경제 회복에 대한 기대감 등이 반영되며 중국은 사상 처음 마이너스 금리로 국채를 발행할 정도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지난 19일(현지시간) 중국은 40억 유로 규모의 유로화 표시 국채를 발행했다. 5년물 국채 금리가 -0.152%였고, 10년물과 15년물의 금리도 0%대의 초저금리로 책정됐다.

HSBC의 중국 부문 책임자인 저스틴 천은 SCMP와의 인터뷰에서 “중국 금융시장에 접근하려는 국제적 수요가 역대 최고 수준”이라고 말했다.

하현옥 기자 hyunoc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