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뉴스분석] 진단키트 이어 치료제 생산기지로…K바이오, 대목 잡았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3면

일라이릴리가 엡셀레라와 함께 개발한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밤라니비맙. [AP=연합뉴스]

일라이릴리가 엡셀레라와 함께 개발한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밤라니비맙. [AP=연합뉴스]

코로나19 치료제 생산 소식이 본격적으로 들려오고 있다. 미국 제약사 일라이릴리가 개발한 항체 치료제가 지난 9일(현지시간) 미국식품의약국(FDA)의 긴급사용승인을 받았다. 초기 물량도 이미 생산되고 있다. 이 중 일부를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위탁생산(CMO) 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코로나 백신보다 치료제 개발 빨라 #미 릴리, FDA 사용승인 받은 약 #삼성바이오서 이미 위탁생산 중 #SK바이오·GC녹십자도 수주

삼성바이오로직스는 17일 “지난 5월 릴리와 위탁생산 계약을 했고, 이에 따라 물량을 생산 중”이라고 밝혔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미 지난달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GMP)에 부합하는 초기 물량을 릴리에 전달했다. 이같은 사실은 릴리가 FDA에서 경증 환자에 대한 코로나19 항체 치료제의 긴급사용승인을 받으면서 알려지게 됐다. 릴리는 “올해 말까지 최대 100만개의 코로나19 항체 치료제를 만들어낼 계획”이라며 “내년 1분기부터는 공급량이 더 늘어날 것”이라고 밝혔다.

일라이릴리 연구원들이 치료제를 테스트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일라이릴리 연구원들이 치료제를 테스트하고 있다. [AP=연합뉴스]

항체 치료제는 코로나19 감염 뒤 체내에 형성된 항체를 분리해 치료제로 사용하는 바이오 의약품이다. 리제네론과 한국의 셀트리온 등도 치료제를 개발 중이다. 셀트리온은 현재 글로벌 임상 2~3상을 진행 중이며, 내년 초에는 상용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리제네론은 FDA에 긴급사용 승인을 신청한 상태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초기부터 백신보다는 치료제가 먼저 개발될 것으로 전망했다. 백신은 임상 조건이나 절차가 치료제보다는 까다로운 편이다. 그만큼 시간도 오래 걸린다.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은 “백신은 건강한 사람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다국가적으로 임상 시험을 크게 해서 안전성에 대한 자료를 확보해야 한다”며 “또 치료제는 타깃이 분명하기 때문에 환자 모집만 잘 되면 백신보다는 임상 기간이 짧은 편”이라고 말했다.

국내 바이오 기업 코로나 의약품 CMO현황.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국내 바이오 기업 코로나 의약품 CMO현황.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개발의 고지가 보이는 만큼 백신·치료제의 대량 생산에도 관심이 쏠린다. 이 중 한국은 코로나19에서 상대적으로 안전하다는 점, 위탁생산을 위한 대량 설비를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주요 생산기지로 주목받고 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코로나19 백신 개발 분야 선두권에 있는 아스트라제네카·노바백스와 이미 생산 계약을 마쳤다. 백신 생산 설비도 기존 연간 1억5000만 도즈에서 약 5억 도즈 규모로 늘렸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글락소스미스클라인과도 위탁생산 계약을 맺었다. GC녹십자도 지난달 전염병예방혁신연합(CEPI)과 최대 5억 도즈(1회 접종량) 분량의 코로나19 백신 위탁생산에 합의했다. 향후 CEPI의 지원을 받은 백신 기업들과 본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이재국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전무는 “위탁생산은 품질에 대한 관리가 중요한데, 한국 기업들은 믿을 수 있는 데이터가 많이 축적돼있다”며 “K-바이오 위상이 높아지면서 한국 생산 브랜드에 대한 신뢰감이 생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권유진 기자 kwen.yuj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