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지난해 가구당 순자산 4억6268만원…4분의 3이 부동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2019년 한 해 동안 국내 가계(비영리단체 포함)의 순자산이 600조원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과 비교하면 주택자산 증가 폭은 줄었지만, 금융기관 예치금 등 금융자산이 많이 늘었다. 가구당 순자산 규모는 4억6268만원으로 전년 대비 5.5% 증가했다. 구매력평가(PPP) 환율 기준 가구당 순자산은 일본을 앞섰다.

서울 서초구 반포동 아파트 일대. 연합뉴스

서울 서초구 반포동 아파트 일대. 연합뉴스

한국은행이 21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19년 국민대차대조표(잠정)’을 발표했다. 국민대차대조표는 매년 국민 경제 전체 및 개별 경제주체가 보유하고 있는 유·무형 비금융자산과 금융자산·부채의 규모 및 변동 상황을 기록한 표다. 자산과 부채 등을 담은 기업의 대차대조표처럼 국가 전체의 재무 상태를 표시하는 통계자료다.

이에 따르면 2019년말 국민순자산은 1경6621조5000억원으로 확인됐다. 전년 대비 1057조7000억원(6.8%) 증가했다. 명목 국내총생산(1919조원)보다 8.7배 많은 것으로 2017년(7.8배), 2018년(8.2배)에 이어 점점 증가하는 추세다. 여전히 순자산의 96.5%는 토지 등 비금융자산인 것으로 나타났다. 토지와 건물 자산이 각각 6.6%, 6.8% 늘었다. 토지 자산의 GDP 대비 배율은 4.6배로, 1995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았다.

금융자산에서 금융부채를 뺀 순금융자산은 580조원 규모다. 경제주체별로는 가계가 9307조1000억원으로 전체의 56.0%를 차지했다. 일반정부 4390조7000억원(26.4%), 비금융법인기업 2553조6000억원(15.4%), 금융법인기업 370조1000억원(2.2%) 순이다.

가계의 순자산은 2018년보다 6.8%(596조원) 증가했다. 2018년(453조5000억원)보다 증가 폭이 확대됐다. 주택자산이 2년 연속 300조원 넘게 늘어난 영향이다. 다만 증가 규모는 2018년보다 줄었다. 주거용 건물(18년 9.6% → 19년 7.1%), 주택 시가총액(9.2% → 7.4%), 주거용 부속토지(8.9% → 7.5%) 모두 전년 대비 상승률이 줄면서다.

한국은행

한국은행

금융자산 증가 폭도 2018년 66조원에서 2019년 246조8000억원으로 크게 확대됐다.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시중 유동자금이 금융기관 예치금 증가로 이어지면서다. 해외 직접투자가 늘어난 영향도 있다. 가계 순자산을 비중으로 보면 주택이 50.8%, 주택 외 부동산이 25.2%로 전체의 4분의 3 이상을 차지했다. 한국은 주요국과 비교할 때 금융자산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다.

가구당 순자산은 4억6268만원으로 확인됐다. 전년 대비 5.5% 증가했다. 전체 가계 순자산을 추계가구(약 2011만호)로 나눈 수치다. 물가 등을 반영한 국민의 실질 구매력을 보는 PPP 환율 기준 가구당 순자산은 53만8000달러였다. 미국(86만3000달러)·호주(74만2000달러)·캐나다(59만9000달러)에는 못 미쳤지만 프랑스(52만1000달러)와 일본(48만6000달러)은 앞질렀다. PPP 기준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2017년 일본을 넘어선 바 있다.

2010년 61.7%였다가 2012년 세종시 출범, 2013년 이후 지방 혁신도시 개발 등으로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였던 토지자산의 수도권 비중은 2018년 상승세로 전환했다. 수도권 중심의 집값 오름세가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성태윤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토지를 중심으로 가치가 증가했는데 소득보다 자산가치 상승 속도가 빠른 상황”이라며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상승도 눈여겨봐야 할 대목”이라고 말했다.

장원석·김남준 기자 jang.wonse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