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분양가 규제가 낳은 청약 광풍, 서울 당첨 3년 새 7배 어려워졌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3년 만에 서울에 새 아파트를 장만하기가 부쩍 어려워졌다. 직방이 한국감정원의 청약 결과를 분석한 결과 올해 상반기 서울 아파트 1순위 청약 경쟁률은 75.6대 1을 기록했다.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2017년 상반기 청약 경쟁률(11.6대 1)의 7배다. 당첨 커트라인도 높아졌다. 올해 상반기 분양한 단지별 최저 당첨 가점의 평균은 2017년 상반기 43.9점에서 54.8점으로 10.9점 올랐다. 무주택기간(1년에 2점)이 6년 늘거나 부양가족(1인당 5점)이 2명 이상 늘어야 달성할 수 있는 점수다.

평균 경쟁률 11대 1서 75대 1로 #시세보다 싼 분양가에 차익 노려

다른 지역도 경쟁이 치열해졌다. 전국 1순위 청약 경쟁률은 2017년 상반기 13대 1에서 올해 상반기 27.7대 1로 높아졌다.

새 아파트 청약 당첨 어려워져.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새 아파트 청약 당첨 어려워져.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관련기사

청약 열기가 뜨거운 이유는 시세차익에 대한 기대감이다. ‘당첨만 되면 수억원을 번다’는 인식이 퍼져서다. 이는 정부가 고분양가 관리지역이나 분양가 상한제를 확대하며 분양가를 관리한 탓에, 주변 시세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로또 아파트’가 나오기 때문이다.

고분양가 관리 지역은 새 아파트의 분양 보증을 하는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사실상 분양가를 정한다. 그런데 해당 분양 아파트의 입지나 규모·브랜드 같은 개별 요소는 거의 반영하지 않는다. 땅값과 건축비를 주로 따진다. 분양가 상한제도 마찬가지다. 그래서 같은 동네에서 같은 시기에 분양하면 지하철역이 바로 앞에 있는 단지나, 걸어서 15분 걸리는 아파트 단지나 분양가 차이가 거의 없다.

‘로또 아파트’를 향한 청약 열기는 더 뜨거워질 것으로 보인다. 그간 공공택지에 적용했던 분양가 상한제가 이달 29일부터 민간택지까지 확대 적용되기 때문이다. 여기에 하반기에는 분양 물량이 확 줄어든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다음 달부터 전매제한이 강화되면 단기차익을 노린 수요가 줄어들 수 있지만, 유동자금이 넘치는 상황이라 가격이 싼 청약 단지에는 여전히 수요가 몰릴 것”이라고 말했다.

최현주 기자 chj80@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