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지방명문-분규대학 동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90학년도 전국1백7개 대학입학정원은 개편 3개 대를 포함해 올해보다 3천8백40명이 늘었으나 서울대를 비롯한 고대·연대서울캠퍼스·이대·서강대·경북대·부산대·전남대 등은 정원이 동결돼 서울소재 대학과 명문대의 입학경쟁이 과거 어느 해 보다 치열해질 전망이다.
특히 전체응시자가 올해보다 8만6천8명이 늘어난 데다 28만3천8백90명인 재수생 가운데 최근 실시한 시중 각 입시학원의 모의고사결과 고득점자가 많아 대입경쟁은 더욱 가중될 것 같다.
따라서 학력수준이 중위권인 수험생들은 무리한 상향지원을 자제하고 서울근교 또는 지방대학으로 눈을 돌리는 지원작전이 필요하다.
올해 체력검사에 응시한 88만9천1백48명이 모두 4년제 대학에 응시할 경우 전체정원을 기준으로 한 산술평균경쟁률은 4.46대 1이고,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의 경쟁률은 올해의 4.81대 1보다 훨씬 높은 5.23대 1에 육박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아직까지 대학별 전 후기 모집정원 조정이 확정되지 않았고 후기대학이 정원의40%범위 내에서 전기에 분할모집을 할 수 있게 돼있어 전기대의 경쟁률을 예측하기는 어렵다.
올해 전기대 경쟁은 13만9천8백56명 모집에 59만7천99명이 지원, 4.27대 1, 후기대는 5만5천6백83명 정원에 23만2천3백32명이 응시해 4.17대 1이었다.
수도권대학은 서울은 동결, 인천·경기 등 수도권지역은 증원억제 방침에 따라 서울소재 대학은 5만3천2백35명, 수도권지역은 1천9백20명이 늘어난 2만7천7백40명을 뽑는다.
수도권 지역에서 증원·학과신설 대학은 개발제한지역내의 학교로 경원대(50명) 성대분교(50명) 아주대(70명) 외대분교(50명) 수원대(60명) 수원가톨릭대(40명) 등 6개대 3백20명이다.
지방대는 계명대 인제대 한림대가 각각 1백20명씩, 호서대 효성여대가 1백 명씩 학과가 신설되거나 증원돼 25개교에서 1천9백30명이 늘어났다.
증원된 3천8백40명중 49.7%인 1천9백10명이 장차 인력수요가 많을 것으로 보이는 자연계로 주로 반도체공학 제어계측공학 전자계산기계공학 공업화학 컴퓨터공학 해양재료공학 해양환경공학 유전공학 환경보건학 등 첨단과학분야와 기초과학분야에 집중 증원됐다.
이번에 새로 개설된 학과는 강릉대 반도체공학(40명), 군산대 해양환경공학(40명), 성대수원캠퍼스 산업디자인과(40명) 등 43개학과에 이른다.
교원적체로 골치를 앓고있는 문교부는 이번에 사대정원을 동결, 사대선호 경향을 보이는 여자수험생들의 경쟁이 가열될 것 같다.
문교부는 정원조정에서 무엇보다 산업계의 고급인력수요와 대학의 교육여건 및 국민의 고등교육수요를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4년제 대학은 3천8백40명을 증원한 반면 전문대는 4배나 많은 1만5천8백60명을 늘렸다. 이는 취업률이 낮은 4년제 대학(취업률 62.4%)은 증원을 억제함으로써 4년제에 편중된 고등교육 수요를 취업률이 높은 전문대학(취업률 79.4%)으로 흡수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이번 정원조정으로 90학년도 고교졸업예정자 76만7천5백71명중 26%가 4년제 대학에 진학하고 전문대에는 17%가 입학한다. 따라서 각종 학교·경찰대·사관학교를 포함하면 고교졸업자 가운데 고등교육기관 진학자는 44.9%인 34만4천8백55명에 달한다.
문교부는 또 단계적으로 단과대학과 종합대의 구분을 없앤다는 기존의 기본방침에 따라 이번 조정에서 교수확보율이 70%가 넘고 수익용 재산 및 교사확보율 1백%를 넘어선 상지대·순천향대·목포대·부산수대 등 4개교를 종합대학으로 승격시켰다.
무엇보다 이번 정원조정의 특징은 학내분규가 계속됐던 대학, 특히 부정입학문제와 학사운영 부조리문제로 올해에 감사를 받은 12개 대학 중 한림대를 제외한 대학들이 증원대상에서 제외됐다는 점이다.
따라서 앞으로의 정원조정기준은 교수확보율 못지 않게 학사운영상태와 소요빈도 등이 주요 기준으로 활용될 전망이다.
정부의 수도권인구 분산책이 실효를 거두지 못하는데도 서울소재대학의 정원을 묶어 두고 인천·경기지역에 소재한 분교캠퍼스의 정원만을 늘려 지방캠퍼스를 비대화하는 것은 학생들의 통학불편만 가중시키고 교통체증을 유발시킬 뿐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도성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