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여당, 윤미향 논란에 "친일 공세"…야당은 "국민이 바보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정의기억연대(정의연) 이사장 출신 윤미향 더불어시민당 비례대표 당선인을 둘러싼 공방이 정치권에서 가열되고 있다. 여당은 14일 “일본군 성노예 문제 해결을 위해 전심을 다해온 단체와 개인의 삶을 모독하지 말라”는 성명서를 냈다. 야당은 “국민을 바보 취급하냐. 친일 색깔론을 휘두르지 말라”고 반박했다.

與 의원들 “할머니 회견 빌미로 친일세력 공세”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정의연과 윤미향 당선인을 둘러싼 논란에 대해 '친일, 반인권, 반평화 세력이 역사의 진실을 바로 세우려는 운동을 폄하하려는 부당한 공세에 불과하다'는 입장을 담은 '역사의 진실을 밝히는 길에 함께 하겠습니다' 성명서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정의연과 윤미향 당선인을 둘러싼 논란에 대해 '친일, 반인권, 반평화 세력이 역사의 진실을 바로 세우려는 운동을 폄하하려는 부당한 공세에 불과하다'는 입장을 담은 '역사의 진실을 밝히는 길에 함께 하겠습니다' 성명서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이날 홍익표·남인순·김상희 의원 등이 나서 “정의연과 윤미향 당선인에 대한 공격이 계속되고 있다. 이는 이용수 할머니의 기자회견을 빌미로 친일, 반인권, 빈평화세력이 역사의 진실을 바로 세우려는 운동을 폄하하려는 공세에 불과하다”고 성명서를 냈다. 성명서는 김 의원과 홍 의원이 이날 오전 국회 소통관 기자회견장에서 대독했다.

이들은 성명서를 통해 “정의연은 피해자를 배제하고 역사의 진실을 덮으려는 굴욕적인 2015년 한·일 합의를 폐기하기 위해 온 힘을 다해 싸웠다. 이들이 아니었다면 일본이 어떤 일을 저질렀는지 드러날 수 없었을 것”이라며 “역사왜곡 중단을 위해 끝까지 싸우겠다”고 했다.

홍 의원은 회견을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잘못된 (위안부 피해자) 합의를 주도했던 외교부 인사들이 면죄부를 받는 것처럼 왜곡해서 과거의 문제를 얘기하는 건 적반하장”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기금 모집·운영 논란에 대해서는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적절한 책임을 지면 되는 것이고 제도적으로 개선해야 할 부분이 있다면 개선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하태경 “국민 바보 취급. 친일 색깔론은 위선”

김두관 더불어민주당 의원(왼쪽)과 하태경 미래통합당 의원. 연합뉴스·뉴스1

김두관 더불어민주당 의원(왼쪽)과 하태경 미래통합당 의원. 연합뉴스·뉴스1

야당에서는 하태경 미래통합당 의원이 여권의 ‘친일 프레임’에 적극 맞서고 있다. 하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 글을 통해 윤 당선인을 향해 “국민을 바보 취급하냐”고 비판했다. 그는 “공개를 원치 않는 기부자가 많아 내역을 못밝힌다”고 한 윤 당선인의 전날(13일) 라디오 인터뷰 내용을 거론하며 “국민들이 기부자 명단과 기부금 사용처도 구분 못하는 줄 아냐”며 이같이 비판했다. 이어 “기부자가 공개를 원치 않는 건 기부금 사용 내역이 아니라 자기 실명”이라며 “자기 돈의 사용처 공개를 결사 반대하는 사람이 있나. 변명을 해도 그럴 듯하게 하고 왜곡을 해도 정도껏 하라”고 했다.

하 의원은 13일에는 김두관 민주당 의원과 페이스북 설전도 벌였다. “친일ㆍ반인권ㆍ반평화 세력이 최후의 공세를 하고 있다”(12일)는 김 의원을 향해 하 의원은 “일본과 싸우는 단체는 회계부정해도 괜찮다는 거냐”고 비판했다. 김 의원이 13일 “하태경 의원에게 실망했다. 야당이 비열한 공격에 앞장서는 건 친일이 아니면 설명할 단어가 없어 문제제기를 한 것”이라고 역공하자, 하 의원은 “김두관 의원께 답변드린다”며 재반박에 나섰다. 하 의원은 “빨갱이 색깔론을 비판하면서 친일 색깔론을 휘두르는 더블 스탠다드는 위선”이라며 “정의연이 회계 문제도 투명하게 하면서 위안부 인권운동을 한다면 더 큰 박수를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경률 회계사 페이스북 [페이스북 캡처]

김경률 회계사 페이스북 [페이스북 캡처]

공방이 격화하는 와중에 정의당도 14일 논평을 냈다. 강민진 정의당 대변인은 논평에서 “기부금 관련 의혹은 하루 빨리 적극적인 소명이 이루어져 의구심이 해소되기 바란다”면서도 “다만 분명한 것은 ‘위안부’ 진상 규명과 피해자 명예 회복, 일본의 책임 추궁을 위한 시민사회의 헌신적인 노력과 성과가 훼손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영익 기자 hanyi@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