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하늘 위 중환자실 효과 톡톡.."병원 중환자실 생존율과 차이 없어"

중앙일보

입력

하늘의 응급실인 응급의료헬기가 실제 병원 중환자실과 동일한 수준의 치료환경을 갖췄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헬기나 구급차로 이송한 위중한 환자와 같은 조건의 입원환자의 생존율을 비교했더니 차이가 없었다. 헬기 이송 등으로 인해 환자가 더 위험할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는 뜻이다.

삼성서울병원, 헬기 등으로 전원된 위중환자 생존퇴원율 비교

 삼성서울병원 심장외과 조양현 교수 연구팀은 2014년 1월~2016년 8월 체외생명보조장치(ECLS)를 단 채 삼성서울병원 응급의료헬기나 구급차로 이송된 환자를 분석한 결과를 12일 공개했다.

 병원 측은 이 기간 체외생명보조장치를 달고 있는 환자 46명을 다른 병원에서 옮겨왔다. 하늘과 땅으로 모두 약 1만㎞를 이동했고, 이송에 60시간이 소요됐다. 30명(65.2%)은 헬기로 전원했다. 체외생명보조장치는 환자의 심폐기능을 대신하는 장치다. 이 장치를 달고 있는 환자는 전문적인 경험을 가진 의료진과 시설을 확보한 상급병원으로 옮기는 게 중요한데 환자를 옮기는 것 자체가 위험해 전원이 성사되기 어렵다.

삼성서울병원이 운용 중인 응급의료헬기. 사진 삼성서울병원

삼성서울병원이 운용 중인 응급의료헬기. 사진 삼성서울병원

 연구팀은 삼성서울병원 중환자실에서 체외생명유지장치로 치료받고 있던 입원환자(148명)와 나이·성별·질병력 등 조건이 맞는 이송환자 44명을 추려 두 그룹 간 생존율을 비교했다. 생존퇴원율은 환자의 치료 성공 여부를 가늠하는 지표다. 그랬더니 기존 병원 환자 그룹(64.2%)과 이송환자 그룹(63.6%)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조양현 교수는 “각 분야 전문가들로 꾸린 이송팀과 중증치료센터 구성원의 적절한 치료 덕분”이라고 말했다.

 삼성서울병원 전문 이송팀은 타 의료기관에서 발생한 중환자의 이송 의뢰가 있을 때 우선 다학제 회의(여러 전문과 의료진이 참여하는 회의)부터 연다. 이송팀에는 응급의학과·심장외과·중환자의학과 전문의, 간호사, 체외순환사를 포함하고 있다.

119 구급대원이 삼성서울병원으로 환자를 옮기고 있다. 중앙포토

119 구급대원이 삼성서울병원으로 환자를 옮기고 있다. 중앙포토

 병원 측은 가능한 한 빨리 환자가 있는 곳에 도달하려고 자체 운용하고 있는 헬기를 주로 이용했다. 삼성서울병원은 지난 1996년 국내 처음으로 응급의료헬기를 도입했다.

 조양현 교수는 “체외생명보조장치를 달 만큼 상태가 위중한 환자를 생명을 살리기 위해선 상급 병원 전원이 필수지만, 이송 그 자체가 부담돼 주저하는 경우가 많다”며 “하지만 다학제팀을 꾸리고 충분한 시스템을 갖춘 기관이라면 더 많은 환자를 살릴 수 있다는 것을 이번에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유럽흉부외과학회지(European Journal of Cardio-Thoracic Surgery) 최근호에 실렸다.

황수연 기자 ppangsh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