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프로야구 위기 "올 시즌 끝나면 부도 나는 구단도 있을걸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프로야구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를 딛고 기지개를 켜고 있다. 21일부터 다른 팀간 연습경기가 열리고, 5월 5일에는 고대하던 2020시즌 KBO리그가 개막한다. 개막이 반갑지만 10개 구단은 마냥 기쁘지만은 않다. 올 시즌이 끝나면 각 구단에 미칠 경제적 여파가 엄청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1일 오후 광주에서 KBO리그 연습경기 삼성-KIA전이 무관중으로 펼쳐지고 있다. [연합뉴스]

1일 오후 광주에서 KBO리그 연습경기 삼성-KIA전이 무관중으로 펼쳐지고 있다. [연합뉴스]

각 구단은 올해 매출이 지난해에 비해 최대 반 토막이 날 거라 내다보고 있다.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무관중으로 경기를 치러야 하는 게 가장 큰 이유다. 야구단 매출은 보통 광고수입, 입장수입, 임대수입, 사업수입 등을 통해 이뤄지는데 가장 큰 수입 항목은 광고수입이다.

한 구단의 전체 매출액 400억~600억원 중에서 광고수입이 60~70%에 달한다. 구장내 현수막 광고와 전광판 광고 등이 무용지물이 된다. 창원 NC파크 현수막 광고는 이달 중순까지도 다 팔리지 않았다.

키움 히어로즈를 제외하고 9개 구단은 모두 모기업이 있다. 그래서 모기업이 주로 광고를 통해 야구단 수입을 올려줬다. 그러나 코로나19로 인해 세계 경제가 마비되면서 기업 상황도 좋지가 않다. 임원들의 연봉 삭감은 물론 일반 직원도 무급 휴직을 하는 곳이 있다. 모기업에서도 야구단에 지원하는 광고수입을 줄일 수밖에 없다.

야구단 매출 중 두 번째로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입장수입은 제로에 가까울 것이다. 코로나19 상황이 좋아지면 관중 경기로 바뀔 수 있다. 그러나 코로나19가 당분간 종식되기는 어렵다는 전문가 의견이 많다. 경기장 입장을 허용해도 관중 수가 예년보다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입장수입은 인기 구단의 경우 100억원이 넘는다.

관중이 없으면 임대 수입, 사업 수입도 올리기 쉽지 않다. 구장내 음식점도 열지 못하고, 관중이 내는 주차 수입도 없다. 유니폼, 응원도구 등 팀 상품 판매도 줄어든다. 이래저래 매출을 올릴 수 있는 방법이 없어 보인다. 일각에서는 "야구 인기가 최악이었던 2000년대 초반보다 더 심각한 상황이다. 올 시즌이 끝나면 부도 나는 구단이 있을 수 있다"는 말이 나온다.

21일 오후 광주에서 삼성-KIA전이 펼쳐지고 있다. [연합뉴스]

21일 오후 광주에서 삼성-KIA전이 펼쳐지고 있다. [연합뉴스]

결국 허리띠를 졸라 멜 수 있는 부분은 인건비다. 이미 야구단 임원과 실무진들은 연봉 삭감 분위기를 받아들이고 있다. 문제는 야구단 인건비의 가장 큰 지출인 선수 연봉이다. 올해 10개 구단 선수 512명(신인·외국인 선수 제외) 연봉 규모는 739억7400만원이다. 한 팀당 선수에게 지급하는 연봉이 평균 70억원 정도다. 신인과 외국인 선수 연봉까지 더해지면, 100억원이 넘을 것이다. 반 토막 난 매출의 30~50%에 달하는 수치다.

코로나19로 메이저리그(MLB) 개막이 기약없이 늦춰지면서 MLB 사무국은 직원 임금을 보전하기 위해 고위직 임원의 올해 연봉을 평균 35% 깎기로 했다. 또 선수들의 연봉도 줄이기로 했다. 애초 정규리그 개막일로 편성한 지난 3월 27일부터 5월 말까지 60일 동안 메이저리그 40인 로스터, 부상자 명단에 오른 선수, 마이너리거들에게 연봉 선지급 개념으로 1억7000만 달러(2100억원)를 줬다.

선지급금 분배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초고액 연봉 선수들이 많이 양보했다. 올해 연봉은 추신수(텍사스 레인저스)가 2100만 달러(256억원), 류현진(토론토 블루제이스)이 2000만 달러(244억원)다. 시즌이 정상적으로 개막했다면, 정규시즌 186일(팀당 162경기)간 일당이 추신수가 11만 2900달러(1억3787만원), 류현진 10만 7500달러(1억3130만원)가 된다.

그러나 추신수와 류현진 등 고액연봉자 일당은 5월 말까지 2개월간 20분의 1로 줄어 매일 4775달러(580만원)씩 받고 있다. MLB가 개막하면 경기 수에 비례해 연봉을 받을 예정이다. 무관중 개막설이 나오면서 연봉 지급에 대해 다시 논의해야 된다는 움직임도 있다.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이탈리아 세리에A 등 유럽 축구는 선수들이 자진해서 임금 삭감에 나섰다. 그 바람이 한국프로축구에도 당도했다. 프로축구선수협회도 최근 "임금 삭감에 대해 프로축구연맹과 각 구단과 협의해보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염경엽 SK 와이번스 감독도 "강요할 순 없지만 선수단도 고통 분담에 나서야 한다. 연봉의 10%를 기부할 수 있다"고 했다. 그러나 선수들은 아직 위기의식이 없어 보인다. 구단은 물론 KBO리그가 전체적으로 힘든 상황인데 선수들끼리 이런 분위기를 알고 있는지 묻자 동문서답만 한다. 프로야구선수협회도 아직 움직임이 없다. 올해 매출 반 토막이 난다면, 결국 내년에는 선수 연봉부터 대폭 낮출 수밖에 없을 것이다. 코로나19 위기는 KBO 사무국만의, 구단만의 일이 아니라는 것을 선수들도 곧 알게 될 것이다.

박소영 기자 psy0914@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