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생활방역 전환 논의···코로나 이전 삶 복귀 뜻 아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정세균 국무총리가 13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황실 서울상황센터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세균 국무총리가 13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황실 서울상황센터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세균 국무총리는 13일 “중요한 한 주가 시작됐다. 이번 주 후반에는 그간 진행된 강도 높은 사회적 거리두기의 성과를 평가하고 생활방역 체제로의 전환 여부를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다만 “생활방역은 코로나19 이전 삶으로의 복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예전과 같은 일상으로는 상당 기간, 어쩌면 영원히 돌아갈 수 없을지도 모른다”면서다.

정 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와 관련해 “섣부른 완화는 되돌릴 수 없는 대가 치른다는 점에서 매우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하고 전환 시기와 방식도 깊이 고민해야 한다”며 “여러 목소리를 귀 기울여 들으면서 신중하게 결정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생활방역의 의미를 “어느 정도 경제사회 활동을 영위하면서도, 코로나19의 전파위험을 낮추기 위해 필요한 강도로 사회적 거리두기를 지속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지난달 22일부터 1차례 연장을 통해 오는 19일까지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시행중이다. 최근 정부는 코로나19 장기전에 대비해 일정 정도의 일상활동을 허용하면서 감염예방·전파차단 활동을 함께하는 ‘생활방역’ 체제로의 전환을 준비 중이다.

아울러 정 총리는 최근 해외에서 귀국한 자가격리자의 가족 간 감염 사례가 증가하는 점과 관련 “자가격리자와 그 가족들은 가능하면 분리해 생활하고 최대한 마주치지 않도록 노력해달라”며 “다중시설 종사자, 공무원, 자영업자 등 지역사회 접촉이 빈번한 사람들은 특히 주의해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이날 회의장 벽에는 ‘국민 여러분이 방역 사령관입니다’라는 문구가 적힌 뒷걸개가 내걸렸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