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19사태로 기업 3곳중 한곳 '언택트(Untact) 채용' 도입

중앙일보

입력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의 장기화로 기업들이 ‘언택트(Untactㆍ비대면) 방식’으로 채용방법을 빠르게 전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인·구직 플랫폼인 사람인은 18일 기업 372개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채용전형 도입 여부’를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그에 따르면 응답 기업 중 31.2%(116개사)가 “현재 온라인 채용 전형을 진행 중이거나 도입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특히 이들 기업 10곳 중 6곳(57.8%)은 "코로나19의 확산이 온라인 채용 전형을 도입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고 답했다.

올초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열린 채용정보 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채용 관련 상담을 받는 모습. [연합뉴스]

올초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열린 채용정보 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채용 관련 상담을 받는 모습. [연합뉴스]

실제 기업들은 온라인 채용전형의 도입 이유(복수응답)로 '지원자들의 부담을 줄여 주기 위해서(45.7%)'에 이어 ‘코로나19로 오프라인 진행이 부담돼서(36.2%)'를 꼽았다. 이어 '지원자들이 온라인 활동에 익숙한 세대라서(31.9%)', '최대한 많은 구직자에게 기회를 주기 위해서(31.9%)' 등이 뒤를 이었다.

전형 과정 중 언택트 방식이 가장 많이 활용되는 단계는 '면접전형(69.8% 복수응답)'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인·적성검사(41.4%)’, ‘채용설명회(7.8%)’, ‘필기시험(7.8%)’ 등이 뒤를 이었다. 

실제 배달앱 배달의 민족을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은 사회적 거리 두기를 위해 대부분의 면접을 화상으로 진행 중이다. SK이노베이션과 카카오, LG전자 역시 화상면접 방식을 도입하기로 밝힌 바 있다.  

자료: 사람인

자료: 사람인

IT기업을 중심으로 채용 전형 전 과정을언택트 방식으로 진행하는 곳도 증가세다. 라인플러스는 올해 신입 개발자 입사지원서 접수부터 면접까지 모든 전형을 ‘100% 온라인 활용 언택트’ 방식으로 진행한다. 과거 오프라인으로 진행되던 각종 테스트는 ‘온라인 코딩 테스트 및 서류전형’으로 대체하고, 모든 면접 역시 화상회의 시스템을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이스트소프트 역시 이번 상반기 공개채용부터 전 과정을 온라인으로 진행하기로 했다.

채용설명회를 온라인으로 대체하는 기업도 늘고 있다. 계열사별로 온라인 채용설명회를 진행할 예정인 삼성그룹이 대표적이다. 또  지난 11일부터 공개채용을 시작한 포스코그룹은 오프라인 채용설명회 대신, 자체 사내 채널과 유튜브 등을 통해 채용정보를 제공 중이다. SK그룹도 올해부터 온라인 채용설명회로 오프라인 채용 행사를 대체하기로 했다.

이수기 기자 lee.sooki@joongang.co.kr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