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서울 강남 3구 포함 18개 구 아파트값에 거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3면

서울의 25개 자치구 가운데 강남·서초·송파 등 18개 구의 아파트값에 ‘거품’이 형성됐을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보험연구원이 2일 공개한 ‘서울 지역별 아파트 가격 거품 가능성 검토’라는 보고서다.

보험연구원 매매·전셋값 차이 분석 #“종로·강북구 등 거품 가능성 낮아”

이 보고서는 지난해 10월을 기준으로 서울 아파트값의 거품 가능성을 다섯 단계로 분류했다. 용산·성동·양천·서초·강남·송파·강동 등 7개 구는 ‘매우 높음’으로 분석했다. 중·광진·마포·강서·영등포·동작 등 6개 구는 ‘높음’, 동대문·성북·노원·은평·서대문 등 5개 구는 ‘다소 높음’으로 구분했다. 반면 중랑·도봉·구로·금천·관악 등 5개 구는 ‘낮음’, 종로·강북 등 2개 구는 ‘매우 낮음’이었다.

보고서는 아파트 매매가격과 전셋값의 차이와 월별 추이를 거품 여부를 판단하는 근거로 들었다. 전셋값보다 매매가격이 아주 비싸고 그런 기간이 오래갈수록 집값 거품일 가능성이 크다는 주장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아파트값 거품은 2017년 4월 강남·용산구를 시작으로 서초·송파·양천구(6월)와 영등포구(7월), 강동구(9월) 등으로 확산했다. 2017년 9월부터는 서울 아파트 평균 가격이 거품으로 볼 수 있는 범위에 들어갔다. 지난해 10월을 기준으로 최소한 2년 2개월간 서울 아파트값 거품이 이어졌던 셈이다. 보고서는 정부가 발표한 2017년 8·2 대책과 2018년 9·13 대책이 시기 측면에서 볼 때 규제 타이밍이 크게 늦었다고 보기 어렵다고 평가했다.

윤성훈 보험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지난해 12·16 대책이 고가의 아파트가 몰려있는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에 큰 충격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주택가격 안정에 대한 정부의 의지가 단호하기 때문에 아파트 가격 거품은 점차 축소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저금리와 주요 국가의 주택가격 상승세 등이 거품 해소에 부정적인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안효성 기자 hyoz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