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퇴직하면 최저임금?···5060 중 30%는 그조차도 못 받는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일자리를 원하는 두 남성이 중장년 구직자를 채용하는 '60(60세 이상) 시니어 일자리 한마당'에 입장하고자 줄을 서 채용 안내서를 살펴보고 있다. 송봉근 기자

일자리를 원하는 두 남성이 중장년 구직자를 채용하는 '60(60세 이상) 시니어 일자리 한마당'에 입장하고자 줄을 서 채용 안내서를 살펴보고 있다. 송봉근 기자

5060 세대가 원래 다니던 직장에서 퇴직하고 3년 뒤엔 임금 수준이 바닥을 찍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로운 일자리 구하기에 나서지만 비정규직ㆍ임시직이 많아 최저임금도 못 받는 경우가 허다해서다.

2014년 회사 퇴직 중장년 근로자 4405명 분석 #상용직 줄고 임시직 늘어, 재취업 불안·일시적 #최저임금 아래로 돈 받는 근로자 비율 3배 급증 #"일자리 이탈 시점 늦춰 퇴직 후 대비 시간 줘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최근 제6차 포용복지포럼을 열고 사회ㆍ경제적 격차 문제 등을 논의했다. 남재량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포럼에서 '주된 일자리 은퇴 후 근로소득 격차 연구'라는 주제로 발표에 나섰다. 오래 다니던 직장에서 2014년 퇴직한 50~69세 중장년 남녀 4405명(한국노동패널조사 대상)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2013년까지만 해도 92.7%였던 취업자 비율은 퇴직 다음 해인 2015년 18.4%로 급락했다. 그 후 서서히 회복하면서 2018년엔 41.7%로 올랐다. 실업률 변화도 이와 맞물린다. 2015년 37.9%로 정점을 찍었다가 꾸준히 하락하는 양상을 보였다.

5060 퇴직자들은 임금과 고용 형태 등이 급격히 변하는 모습을 보였다. [사진 pixabay]

5060 퇴직자들은 임금과 고용 형태 등이 급격히 변하는 모습을 보였다. [사진 pixabay]

이들이 노동시장서 갖는 지위는 해마다 널뛰는 모습을 보였다. 상용직 비율은 2016~2017년 기간에 급격히 내려가는 반면, 임시직 비율은 퇴직 직후인 2015년부터 크게 뛰었다. 상용직ㆍ임시직 비중이 최근 9년간 거의 변하지 않은 전체 5060 세대와는 대조적이다.

이와 맞물려 세부 근로 형태도 흔들렸다. 2015년부터 정규직이 급감하고 비정규직이 급증했다. 특히 용역 근무가 20%, 일일호출이 10%가량을 차지했다. 근로시간 하락세 역시 여타 5060 세대와 비교했을 때 훨씬 더 두드러졌다. 퇴직 후 일자리가 대부분 불안하고 일시적인 경우가 많다는 의미다.

가계와 직결되는 임금 수준은 내려갈 수밖에 없다. 월 300만원 가깝던 임금은 퇴직을 기점으로 바닥까지 떨어졌다. 최저치로 떨어진 2017년에는 월 190만원을 밑돌았다. 퇴직 4년 뒤인 2018년에야 소폭 반등했다.

고용 악화에 따라 최저임금도 못 챙기는 중장년 근로자는 크게 늘었다. 최저임금 미만의 월급을 받는 비율은 퇴직 직전인 2013년 11.4%에 불과했다. 하지만 회사를 나가고 3년이 지난 2017년엔 30.3%로 세 배 가까이 뛰었다. 남재량 선임연구위원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많은 비율이 최저임금도 못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지난 10월 서울에서 열린 ‘중장년 희망잡페어’에서 중장년 구직자들이 이력서를 작성하고 있다. [뉴스1]

지난 10월 서울에서 열린 ‘중장년 희망잡페어’에서 중장년 구직자들이 이력서를 작성하고 있다. [뉴스1]

중장년 퇴직자들은 건강ㆍ고령 사유로 인한 퇴직이 39.6%로 가장 많았다. 이들은 평균 58.2세에 직장을 나왔다.  ‘일거리가 없거나 적어서’라는 응답이 13.2%로 뒤를 이었다. 회사를 나온 이유에 따라 퇴직 당시 평균 임금은 차이가 컸다. 명예퇴직이 317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일거리가 없거나 적다는 경우는 절반 가까운 161만원에 그쳤다.

남 선임연구위원은 "오래 근무한 직장에서 이탈하면 2~3년간 급격한 변화를 겪을 수밖에 없다. 임금이 떨어지더라도 일자리를 계속 유지하는 게 근로자에게 이득이다"라면서 "일자리 이탈 시점을 늦춰서 새로운 환경에 충분히 대비할 수 있도록 여유를 줘야 한다. 개인ㆍ국가 차원의 건강 관리와 함께 생산성을 고려한 임금 유연제 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종훈 기자 sakeho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