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수 현대차 새 노조지부장 “조합원도 시대 변화 인지해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2면

이상수. [연합뉴스]

이상수. [연합뉴스]

“필름으로 사진 찍던 카메라(회사)들 지금 다 망했다. 시대의 변화에 회사(현대자동차)가 발 빠르게 대응해야 하고 노동조합 조합원도 인지해야 한다.”

“현재 인원 누가 봐도 문제 생겨 #노사 머리 맞대면 해법 찾을 것”

새 금속노조 현대차지부장으로 뽑힌 이상수 당선인은 5일 현대차 울산공장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시대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면, 현대차가 오래가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는 2025년까지 자율주행차 개발을 위해 20조원을 투자한다. 세계 전기차 3대 메이커를 목표로 삼기도 했다. 이런 변화에 노조가 호응하지 못하면 노사가 공멸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당선인은 “4차 산업시대에는 내연기관 자동차가 많이 줄어드는 것이 기정사실화이어서 현재의 (고용안정을) 이어나가기는 쉽지 않다”며 “저야 5~6년 후 퇴직하겠지만 정년이 20~30년 남은 조합원들의 고용은 아무도 책임질 수 없다”고도 했다.

그는 “내연기관이 사라지고 부품 수가 줄어드는 것으로 볼 때 현재의 고용인원을 계속 (투입)하는 방식은 누가 봐도 문제가 생긴다”며 “다행히 내년부터 정년퇴직자가 매년 2000명 정도다. 6개 위원회(사업장) 울타리 내에서 고용이 지켜지는 방식으로 (노사가) 이해의 폭을 넓혀야 한다”고 말했다. 현대차는 2025년까지 1만5000여명의 정년퇴직자가 발생한다. 현대차 사측은 이를 ‘자연 감소’로 본다.

해외 자동차업계가 인력의 5~10%를 감축하는 인위적 구조조정을 하고 있지만, 현대차는 자연 감소를 통해 인력을 재편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이 당선인은 “인위적인 정리해고나 인원 감축으로 새 발전을 꾀하는 것은 있을 수 없다”며 현 고용이 유지되는 선에서 노사가 머리를 맞대고 공유하면 충분히 해법을 찾을 수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

현대차는 자연 감소 외에 추가 고용이 없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현 노조 집행부는 1만명 이상으로 늘려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이 당선인은 ‘자연 감소하는 1만5000명 대신 추가 신규고용 규모는 얼마로 보느냐’는 질문에는 즉답을 피했다.

내년 1월 임기 시작 이후 노사는 장기적 인력재편에 대해서 머리를 맞댈 것으로 보인다.

‘귀족노조’로 비판받는 점에 대해 자성의 뜻도 내비쳤다. 이 당선인은 “선거 전 공무원분들과 식사하면서 ‘울산 관공서 차량이 현대차가 아니라 기아차’란 소릴 들었다”며 “오너(정의선 수석부회장)는 한 분이지만, 기아차는 현대차의 경쟁사인데 왜 이렇게 됐을지 조합원도 알고 있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또 “지역주민이 현대차 안티, 국민이 현대차 안티라면 만들어서 안 팔리는 회사가 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울산=김효성 기자 kim.hyoseo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