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비건 2인자 알렉스 웡 "北 실무협상 재개 아직 연락 없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알렉스 웡 미 국무부 대북특별 부대표가 5일(현지시간) 워싱턴 전략국제연구소(CSIS)에서 "평화체제는 트럼프 대통령의 북한을 밝은 미래를 위한 비전의 필수 요소"라고 말했다.[CSIS]

알렉스 웡 미 국무부 대북특별 부대표가 5일(현지시간) 워싱턴 전략국제연구소(CSIS)에서 "평화체제는 트럼프 대통령의 북한을 밝은 미래를 위한 비전의 필수 요소"라고 말했다.[CSIS]

"한반도 전쟁 영속 안 돼", 평화체제로 北 체제보장 메시지 

알렉스 웡 미 국무부 북한담당 부차관보 겸 대북특별 부대표가 5일(현지시간) "70년 동안 갱신해온 전쟁 상태는 영속되어선 안 되며 영속될 수도 없다"고 말했다. "한반도는 더 안정되고 번영한, 평화로운 미래를 가질 수 있다"고도 했다. 미국의 대북 협상팀의 2인자인 그가 전쟁 종식과 평화체제 구축에 관해 강력한 메시지를 던진 셈이다.

美 국무부 대북특별 부대표 첫 공개 연설 #"평화체제 트럼프 대북 비전의 필수 요소, #학자·전문가 제안 협상팀이 열심히 분석" #북 체제보장 위해 불가침협정 검토 주목

웡 부대표는 이날 워싱턴 전략국제연구소(CSIS)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세미나 연설에서 "평화체제의 개념은 매우 복잡하고 형태가 정해진 것은 없다"면서 "우리가 북한과 협상에서 함께 풀어야할 광범위한 문제들을 포괄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녹록하진 않지만 평화체제 개념은 마음속 염원이 담겼기 때문에 강력하다"고 했다.

그는 이날 "평화체제는 트럼프 대통령의 북한의 밝은 미래를 위한 비전의 필수 요소"라고 강조했다. "우리가 협상에서 할 일을 한다면 한반도와 태평양지역의 모든 사람들이 더 안정되고 번영하고, 평화로운 미래를 가질 수 있다"며 "이것이 평화체제가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이 함께 서명한 싱가포르 정상회담 공동선언의 핵심 축인 이유"라고도 했다.

그러면서 "평화체제는 모든 주체들과 이해 관계자들의 이해를 증진할 한반도의 전략적 전환 유형에 관한 약속을 담고 있다"며 "이는 북한의 대량살상무기가 안보의 원천이라기보다 오히려 북한의 불안정의 핵심 요인임을 분명히 말해준다"고도 했다.

이날 연설은 비건 대표의 부장관 승진으로 대북 협상팀의 일상적 운영을 담당할 것으로 알려진 웡 부대표의 첫 공개 연설이다. 그는 국무부 합류 직전 트럼프 대통령과 가까운 톰 코튼 공화당 상원의원의 외교 보좌관을 지냈으며, 하버드 로스쿨 출신으로 국무부 내에선 폼페이오 사단으로 분류된다. 웡 부대표는 최근 스티븐 비건 특별대표가 국무부 부장관으로 승진하면서 대북 협상팀의 일상적 운영을 책임진 것으로 알려졌다.

조성렬 "중국 비핵화 참여않기 때문, 북·미 협정이후 4자 평화협정" 

그는 연설에서 앞서 한반도 전문가들과 비공개 회의에선 "비건 대표가 부장관으로 승진하더라도 비핵화 협상은 계속 관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고 한다. 스톡홀름 실무협상 결렬 이후 협상 재개 전망에 대해선 "북한으로부터 아직 연락이 없다"고 밝혔다고 참석자들이 전했다. 그는 대신 전쟁 종식과 함께 북한의 체제보장 요구의 핵심인 평화체제 구축 방안에 대해 적극적으로 연구할 뜻을 밝혀 미국이 기존 종전선언 이외 불가침 협정 체결을 포함한 새로운 제안을 낼지 주목된다. 그는 "이날 토론을 위해 전문가들이 제출한 논문들을 열심히 읽었다"며 "협상팀이 지혜를 얻기 위해 분석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웡 부대표가 언급한 논문에는 남북과 북·미가 각각 관계개선을 위한 양자 협정 및 삼자 불가침 협정을 맺은 이후에 최종적으로 남·북·미·중 4개국이 한반도 평화협정을 체결하는 방안도 포함됐다. 조성렬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연구위원은 "중국이 비핵화 협상에 참여하지 않고 있는 현실을 고려한 방안"이라며 "비핵화를 위해 남·북·미 불가침 공약을 담은 3자 군사협정의 법제화도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맥스웰 "북·중 주한미군 철수, 핵우산 제거 요구 수용할 수 없어" 

하지만 데이비드 맥스웰 민주주의수호재단 선임연구원은 토론에서 "북한은 체제보장을 위해 주한미군 철수와 한국은 물론 일본에 대한 전략자산 전개 등 핵우산 제거를 요구할 것이며 중국 역시 이를 원한다"며 "한미동맹이 이를 수용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워싱턴=정효식 특파원 jjpol@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