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문희철의 졸음쉼터

살짝 긁은 차가 하필 페라리라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9면

문희철 기자 중앙일보 기자
문희철 산업1팀 기자

문희철 산업1팀 기자

지난달 22일 독일에서 8세 소년이 폴크스바겐 골프를 몰고 시속 140㎞로 고속도로를 질주했다. 4월엔 경기도 화성에서 10살 초등학생이 현대차 그랜저를 몰고 도주하다 차량 8대를 파손했다. 지난해 7월엔 대전에서 9세 어린이가 현대차 아반떼를 몰고 7㎞ 거리를 왕복하며 주차장·마트에서 차량 10대를 긁었다.

한때는 세상이 두렵지 않던 시절이 있었다. 어떤 문제가 생기더라도 넘어설 수 있을 거라는 자신감으로 가득하던 시절. 그 땐 실수를 하더라도 만회할 시간이 충분하게 느껴졌다.

실제로 신호대기 중에 옆 차선 운전자가 깜짝 놀라서 ‘내리라!’고 소리쳤더니, 이 담대한 9살 어린이는 당돌하게 눈동자를 쳐다보다가 창문을 닫고 급가속을 했다는 증언이 나온다. 아마도 ‘부웅’ 액셀러레이터를 밟으면서 ‘형씨만 운전하는 거 아니야. 동생이 보여줄게’라고 생각한 것은 아니었을까.

다들 못 한다고 말할 때 한 방 먹여주고 싶은 치기어린 생각이 지배하는 시기가 있다. 나이가 적다고 경험이 없다고 못하는 게 아니라는 걸 세상에 보여주고 싶은 시절. 경찰이 아반떼 블랙박스를 확인했더니, 이 어린이는 비록 운전면허증이 없지만 교통신호를 거의 위반하지 않고 대형마트에 다녀왔다. 독일 소년도 갓길에 비상등을 켜두고 후방에 삼각대까지 설치한 채 경찰을 기다렸다.

기술이 발전하면서 요즘 운전게임은 생생한 주행환경을 구현한다. 속도·마찰·하중 등 실제 차량 운행 정보를 시뮬레이션한 덕분이다. 자신감을 얻은 어린이가 ‘나도 운전할 수 있겠다’고 생각한 것도 무리는 아니다.

게임은 초기화 버튼을 누리고 다시 시작할 수 있지만 교통사고는 초기화 버튼이 없다. 세상에 책임지는 게 불가능한 것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아는 순간 행동반경이 달라진다. 미성년자 사고는 통상 보험 처리가 안 된다. 만약 빠듯한 부모님 월급으로 겨우 가계를 꾸리고 있다면. 긁어먹은 차량 중 1대가 롤스로이스나 페라리라면. 누군가 다치거나 사망했다면. 그때 눈앞에 펼쳐지는 순간은 계기반 주행거리처럼 버튼 하나 누른다고 처음으로 돌아가지 않는다.

문희철 산업1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