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우외환 중국 내부단속 나서나…미루던 공산당 4중전회 10월 개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중국 공산당이 오는 10월 제19기 중앙위원회 4차 전체회의(19기 4중전회)를 개최한다.

미·중 무역전쟁과 홍콩 반정부 시위가 격화하는 가운데 공산당의 결속과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의 ‘결사옹위’를 재확인하는 무대가 될 전망이다. 국내외 산적한 난제들의 돌파구를 집안 단속에서 찾겠다는 취지다.

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지난달 31일 “중앙정치국은 30일 회의를 열고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제도를 견지·정비하며 국가 거버넌스 시스템과 능력의 현대화를 추진하는 문제’를 주요 의제로 하는 4중전회를 10월에 개최하기로 결정했다”고 보도했다. 이번 4중전회는 지난해 2월 ‘당·국가 기구 개혁’을 확정한 3중전회 이후 20개월 만에 열린다.

관례대로라면 4중전회는 지난해 가을에 열렸어야 했다. 4중전회 개최가 1년 넘게 연기된 배경에 대해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미국과의 무역전쟁 같은 급박한 현안 때문이라고 보도했다. 10월 1일 대대적으로 열리는 중화인민공화국 70주년 기념행사를 전후로 애국주의 정서가 최고조에 달할 때에 맞춰 4중전회를 여는 것이란 해석도 있다.

그만큼 현재 중국 정부 앞에 놓여 있는 현안들이 결코 만만치 않다는 얘기다. 남중국해와 대만 문제를 둘러싼 군사적 갈등에 무역 공세까지 겹치며 미국과의 싸움이 전방위로 확대되고 있다는 게 중국 정부의 인식이다. 사그라들지 않고 있는 홍콩 반정부 시위와 경기 둔화 또한 중국 정부에 시한폭탄 같은 위협 요소다.

이 같은 악재들에 맞서 중국은 내부 단결로 장기 응전에 나설 태세다. 이를 위해 역대 4중전회에서 다루던 당 건설 대신 ‘국가 거버넌스’를 의제로 선정했다. 2014년 시진핑 주석이 집권한 뒤 열린 18기 4중전회가 당 건설 대신 ‘의법치국’(법에 따른 국가 통치)을 다뤘던 데서도 한발 더 나아간 셈이다.

미·중 무역전쟁, 홍콩 반정부 시위 등 중국 공산당이 전례없는 도전에 직면한 상황에서 중국식 사회주의 체제의 우월성을 내세우고, 내부 단결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볼 수 있는 해석이다.

중국 상하이 출신 정치전문가 천다오인은 SCMP를 통해 “4중전회 이후 시진핑 주석의 권한에 더 힘이 실릴 것”이라고 말했다.

베이징=신경진 특파원 shin.kyungj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