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강찬수의 에코사이언스

해수 유통 늘려야 새만금이 산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9면

강찬수
강찬수 기자 중앙일보 환경전문기자
강찬수 환경전문기자·논설위원

강찬수 환경전문기자·논설위원

1991년에 시작된 새만금 간척사업. 세계 최장 33.9㎞의 방조제를 쌓고 산업단지와 농지, 도시를 조성하기로 한 이 사업은 28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공사 중이다. 지난해 10월에는 정부가 풍력·태양광 발전단지를 덧붙이면서 밑그림이 또다시 흔들렸다.

그동안 새만금호(湖) 수질 개선에만 4조 원이 투입됐고, 정부는 내년에 수질 개선 결과를 보고 해수 유통을 계속할지, 담수호로 만들지 결정할 예정이다. 이런 가운데 지난 13일 국회에서 열린 ‘새만금의 현재와 미래’ 심포지엄에서는 담수호를 포기하고 해수 유통을 늘리자는 목소리가 높았다.

이 자리에서 한승우 전북녹색연합 새만금살리기위원장은 “새만금호 수질은 최악의 6급수”라고 주장했다. 만경·동진강 유입 지점의 올 1~6월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은 12ppm을 넘어 6급수라는 것이다. 새만금호 목표 수질 3~4급수에 못 미친다. 한 위원장은 “전남·충남의 연안어업 생산량은 90년 이후 배로 늘었는데, 전북은 절반으로 줄었다”며 “새만금 사업으로 인해 2018년에만 전북 어민이 1조689억 원의 어업 손실을 봤다”고 강조했다.

새만금은 1998년 환경단체의 반대 시위, 2003년의 삼보일배 등 격렬한 반발이 있었지만, 2006년 둑이 막힌 후 10년도 더 지난 지금 방조제를 허물고 원상 복구하라는 목소리가 더는 들리지 않는다. 대신 갯벌을 파괴하고, 어민을 희생시킨 만큼 새만금 사업을 반드시 성공시켜야 한다는 요구는 분명하다.

갈팡질팡하는 새만금 사업이 성공하려면 이제라도 잘못된 점은 솔직하게 인정하고 바로잡아야 한다. 바다를 메울 흙이 부족하다는 것, 담수호 수질 목표 달성은 불가능하다는 것, 썩은 호수로 만들지 않으려면 해수 유통을 늘려야 한다는 점을 정부가 인정해야 한다.

26조 원이 들어가는 단군 이래 최대의 토목사업이지만 바로 옆 호수에서 악취가 난다면 멋진 미래 도시가 무슨 소용일까. 새만금을 살리려면 이제라도 조력발전소를 짓거나 배수갑문을 더 지어 해수 유통을 확대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강찬수 환경전문기자·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