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완공될 부산 유니클로도 직격탄···상인들 "공사 철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부산 전통시장 상인들이 부산 원도심에 들어설 중형급 유니클로 매장 건설 공사를 반대하고 나섰다. 최근 일본 경제보복 이후 일본제품 불매 운동이 확산하는 가운데 나온 움직임이다.

부산진시장 등 4개 전통시장 상인 2000여명 공사 반대 #일본 경제보복 이후 불매운동…공사 철회로 확산 #상인들 “철회 안하면 집단행동 나설 것”

부산진시장번영회 정광훈 상무는 30일 중앙일보와의 전화인터뷰에서 “지난달 말부터 유니클로 매장 공사가 진행되고 있었는데 유니클로 매장인 줄 모르다가 지난 15일 알게 됐다”며 “일본 경제보복 조처가 내려진 이후였고, 전통시장 내에 있는 의류매장에 미치는 타격이 커 매장 공사 중단을 요구하게 됐다”고 말했다.

연면적 1450.44㎡ 규모의 건물은 오는 10월 완공 예정이다. 유니클로 매장이 들어서는 부산 동구 범일교차로 인근 주변에는 4개의 전통시장이 밀집해 있다. 부산진시장은 유니클로 매장과 400m 거리에 있다. 가장 멀리 위치한 평화시장과의 거리는 600m다. 평화시장은 의류전문 도매시장이다.

4개 전통시장 내 입점해 있는 의류매장은 2000여개에 이른다. 매장 점주와 종업원을 합치면 3000~4000명이 일한다. 전 상무는 “유니클로가 중저가 의류를 위주로 판매하기 때문에 전통시장 내 의류매장과 소비층이 겹친다”며 “유니클로는 유명 브랜드 상품인 데다가 400평이 넘는 규모의 대형 매장이어서 전통시장을 이용하던 소비자들을 대거 흡수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우려했다.

부산진시장을 비롯해 4개 전통시장 상인들은 지난 25일 유니클로에 공문을 보내 공사 철회를 요구했다. 또 같은 날 동구청에도 공문을 보내 사업 철회와 판매시설 허가 철회를 요구했다. 상인들은 이날 부산 부산진구 송상현 동상 앞에서 열린 ‘일본 아베 정부 경제보복 규탄 및 일본제품 불매 확대 범시민운동’ 기자회견에 참석하기도 했다.

전 상무는 “법적으로 유니클로 매장 공사는 사업조정 신청 대상은 아니지만, 유니클로와 협의를 해서 공사 철회를 끌어낼 것”이라며 “공사 철회가 안 되면 공사장 인근에서 집회를 여는 등 집단행동을 해서라도 막아내겠다”고 강조했다.

동구청은 철회 가능 여부를 검토해 보겠다는 입장이다. 동구청 관계자는 “우선 건축주 의사를 물어본 뒤에 관련법에 따라 허가 철회 가능 여부를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에대해 유니클로 관계자는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  문제를 잘 해결할 수 있도록 여러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대구 달서구의 한 유니클로 매장 앞에서 지역 주민들이 일본 기업 불매운동 릴레이 1인 시위에 참여하고 있다. [뉴스1]

대구 달서구의 한 유니클로 매장 앞에서 지역 주민들이 일본 기업 불매운동 릴레이 1인 시위에 참여하고 있다. [뉴스1]

유니클로는 한국 진출에 성공한 대표적인 일본 브랜드 중 하나로, 최근 일본 경제보복 속에 한국인 소비자들의 일본제품 불매운동의 주요 타깃이 된 의류 유통업체다. 유니클로의 한국 내 180여개 매장 영업은 일본 본사인 패스트리테일링과 롯데쇼핑이 각각 지분 51%, 49%를 보유한 합작법인 에프알엘코리아가 맡고 있다.

패스트리테일링 임원이 지난 11일 한국 내 유니클로 불매 운동은 매출에 큰 영향을 줄 만큼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 뒤 여론이 악화됐다. 이 발언이 알려지자 온라인 중심으로 “한국 소비자를 우습게 보는 것”이라며 불매 운동이 확산됐다. 일부 소비자는 유니클로 매장 앞에서 ‘보이콧 재팬’ 푯말을 든 1인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매출도 급감했다. 유니클로 브랜드를 운영하는 패스트리테일링과 에프알엘코리아는 지난 16일과 지난 22일 두 차례 사과문을 발표했다.

부산=이은지 기자, 전영선 기자 lee.eunji2@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