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당국-학교비정규직 막판협상 결렬…예정대로 3일 총파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2일 오후 총파업을 앞두고 열린 교육당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간 막판 협상. [연합뉴스]

2일 오후 총파업을 앞두고 열린 교육당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간 막판 협상. [연합뉴스]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연대회의)의 총파업이 예정대로 3일부터 사흘간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연대회의와 교육당국은 2일 오후 1시부터 7시까지 막판협상을 벌였다. 하지만 서로의 입장 차만 확인한 채 결국 결렬됐다.

이에 따라 연대회의는 예고했던 대로 3일부터 사흘간 9만여명이 참여하는 파업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같은 날 광화문광장에서는 4만명이 참여하는 집회도 열린다.

연대회의는 문재인 정부 임기 내  '9급 공무원 80% 수준'의 임금인상을 달성하기 위해 기본급을 6.24% 인상할 것과 각종 수당에서 정규직과의 차별 해소 등을 요구하고 있다. 반면 교육 당국은 기본급만 1.8% 인상하자는 입장이다.

2일 오후 대전 한 초등학교 식당에서 학교급식 조리원들이 식판 등 청소 정리를 하고 있다.[뉴스1]

2일 오후 대전 한 초등학교 식당에서 학교급식 조리원들이 식판 등 청소 정리를 하고 있다.[뉴스1]

연대회의의 파업이 현실화되면서 전국 시·도교육청은 급식 운영을 비롯한 학사 전반에 차질을 최소화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경기도교육청은 도 교육청 파업대책반을 설치해 학생과 학부모 피해 및 교육 활동과 교육행정 지장을 최소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각급 학교도 학교장이 총괄하는 상황반 등을 두어 총파업에 따른 피해가 없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피해가 가장 클 것으로 보이는 급식의 경우 학생이 직접 도시락을 지참하거나 빵이나 떡, 우유, 외부 도시락 등을 학교가 제공하도록 했다. 경우에 따라선 단축 수업을 할 수도 있다.

부산교육청, 광주교육청도 급식 뿐만 아니라 돌봄교실 운영, 특수학교 운영 등 학생 불편이 예상되는 분야도 다시 한 번 점검하고 있다. 특히 저소득층 학생에 대한 배려방안을 마련해 결식이 발생하지 않도록 당부했다. 그러나 공립 특수학교인 광주 선광 학교의 경우 급식제공이 어려운 실정이어서 장애 학생들의 불편이 예상된다.

이민정 기자 lee.minjung2@joongn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