떠나는 웨인 에어 주한 유엔군사령부 중장에 ‘예영수(芮榮守)’ 한글명 선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웨인 에어 주한 유엔군사령부 부사령관이 지난 4일 한미동맹친선협회가 마련한 작명 행사에서 '예영수' 이름이 적힌 족자를 받고 있다. [유엔사 페이스북]

웨인 에어 주한 유엔군사령부 부사령관이 지난 4일 한미동맹친선협회가 마련한 작명 행사에서 '예영수' 이름이 적힌 족자를 받고 있다. [유엔사 페이스북]

 다음달 본국으로 귀국하는 웨인 에어 주한 유엔군사령부 부사령관(중장)이 ‘예영수(芮榮守)’라는 한글 이름을 갖게 됐다.

유엔사는 7일 페이스북에서 “한·미동맹친선협회가 에어 부사령관에게 한국식 이름인 ‘예영수’를 작명해 선물했다”고 밝혔다. 이 협회는 지난 4일 작명식을 열고 에어 사령관에게 ‘예영수’ 이름이 적힌 족자와 명예 태권도 4단 검은띠 및 단복을 전달했다.
유엔사는 “한국명 작명식은 주한미군 지도자들의 훌륭한 복무에 대해 감사를 표하는 오랜 전통”이라며 “에어 중장은 미국인이 아닌 유엔사 부사령관으로, 이 영예를 안은 최초의 캐나다인”이라고 설명했다.
에어 중장은 작명식 행사에서 “유엔군사령부는 한·미동맹의 중요한 업무를 계속 지원하고 있고, 앞으로도 지원할 것”이라며 “우리는 정전협정을 이행하고, 외교적 공간을 열어 줌으로써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를 확립하는 것을 돕고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화답했다.
그는 또 “유엔사는 15개의 다른 유엔 파견국과 (유엔사) 설립 근거인 안보리 결의 84호를 통해 지속적인 협력을 모색하고 있다”며 “지역 평화와 안보를 회복하는 것이 우리가 하는 모든 일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유엔사 페이스북]

[유엔사 페이스북]

캐나다군 장성인 에어 중장은 제3국 출신으로는 사상 처음 유엔군사령부의 부사령관을 지냈다. 지난해 7월 주한 유엔군 부사령관으로 취임한 그는 임무를 마치고 내달 본국으로 복귀한다. 그의 후임으로는 스튜어트 마이어 호주 해군 소장이 임명됐다.

백민정 기자 baek.minjeo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