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현대중 분할 말라” 울산시장·현대차노조까지 압박작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4면

현대중공업 노조원들이 29일 주주총회 예정 장소인 울산시 동구 한마음회관에서 점거 농성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현대중공업 노조원들이 29일 주주총회 예정 장소인 울산시 동구 한마음회관에서 점거 농성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우조선해양 인수를 위한 주주총회를 앞두고 현대중공업 노사 갈등이 더욱 격해지고 있다. 현대자동차와 대우조선해양 노조가 연대투쟁을 선언한 데다 정치권까지 가세하면서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 현대중공업 노조는 물적 분할에 반대해 주주총회장을 사흘째 점거해 농성하고 있다. 31일 주주총회를 앞두고 노사 간 물리적 충돌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사측이 주총 당일 주총장을 바꿀 것이란 얘기도 들린다. 이런 가운데 송철호 울산시장과 황세영 울산광역시의회 의장은 이날 오후 물적 분할 이후 한국조선해양 본사의 울산 존치를 촉구하며 삭발했다.

현대중 노조원 차에 시너·쇠파이프 #현대차노조 “해산시도 땐 연대파업” #울산시장은 “본사 이전 안돼” 삭발

29일 오후 사측은 주주총회가 예정된 울산 동구 한마음회관 주변에 사설 경비업체 직원을 배치했다. 이에 노조는 인력을 집중적으로 배치해 한마음 회관 입구를 막았다. 경찰은 사고에 대비해 19개 중대 1300여명의 경찰 병력을 배치했다.

전날 오후 비닐과 스티로폼 등 회사 물품을 반출하다 적발된 노조원의 스타렉스 차량에서 발견된 2ℓ 용량의 시너 1통과 휘발유 1통, 1m 길이의 쇠파이프들. [연합뉴스]

전날 오후 비닐과 스티로폼 등 회사 물품을 반출하다 적발된 노조원의 스타렉스 차량에서 발견된 2ℓ 용량의 시너 1통과 휘발유 1통, 1m 길이의 쇠파이프들. [연합뉴스]

현대중공업 노조원 1000여명은 울산 동구 한마음회관 내·외부에서는 문을 걸어 잠그고 의자 등으로 출입문을 막고 진압에 대비 중이다. 한마음 회관 건물 외벽에는 ‘노동자 다 죽이는 법인분할 중단하라’는 문구가 적힌 플래카드 3개가 걸려 있었다. 옥상과 농성장 주변에는 ‘결사 항전’ ‘총파업’ ‘단결 투쟁’ 등과 같은 말이 적힌 깃발 수십 개도 내걸렸다.

경찰에 따르면 한마음회관 내부에는 500여명의 조합원이 들어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는 주총이 예정된 오는 31일까지 점거 농성을 유지할 방침이다.

송철호

송철호

사측은 한마음회관 시설물보호와 조합원 퇴거를 경찰에 요청했다. 주총은 예정대로 31일 진행할 방침이다. 주총 당일 현장 분위기 등을 고려해 주총장 진입이 어려울 경우 장소를 변경하는 것도 사측은 고려하고 있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장소와 일시 변경은 상황을 지켜본 뒤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중공업의 대우조선해양 합병 작업이 더뎌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이런 가운데 노조 조합원 차량에서 시너와 쇠파이프가 발견돼 경찰이 압수하는 일도 벌어졌다. 사측이 고용한 보안요원은 지난 28일 오후 10시 30분쯤 현대중공업 울산 본사 밖으로 나가던 노조원 차 안에서 20L 시너 2통과 쇠파이프 19개를 발견됐다. 보안요원은 경찰에 이를 신고했고, 출동한 경찰은 이를 압수했다. 김형균 노조 정책기획실장은 “시너는 현수막이나 깃발에 페인트로 글씨를 쓸 때 사용하고, 쇠파이프는 천막 지지대로 사용하기 위한 용도”라고 말했다. 경찰은 한마음 회관 내부에도 시너와 쇠파이프가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현대중공업 총파업에 현대자동차 노조와 대우조선 노조가 연대투쟁을 선언하면서 주총을 앞두고 분위기는 심상치 않게 흐르고 있다. 현대차 노조는 29일 긴급성명을 내고 “주주총회장 점거 농성에 공권력 행사나 용역업체 동원을 통한 해산 시도가 있으면 금속노조 지침에 따라 전 조합원 총파업 후 연대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현대중공업 물적 분할 이후 신설되는 한국조선해양 본사 위치를 두고 지역 정치권은 총력전에 나서고 있다. 송철호 울산시장과 황세영 울산광역시의회 의장은 이날 오후 4시 롯데백화점 울산점 광장에서 시민 총궐기 대회를 열었다. 송 시장은 “한국조선해양 본사가 서울로 이전할 경우 지역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울산=이은지 기자, 강기헌 기자 lee.eunji2@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