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대통령, "남측은 당사자 돼야" '김정은 연설' 입장 밝힐듯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한미정상회담을 마치고 미국 워싱턴에서 돌아온 문재인 대통령이 12일 저녁 경기 성남 서울공항에서 환영나온 이들과 인사한 뒤 승용차로 향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한미정상회담을 마치고 미국 워싱턴에서 돌아온 문재인 대통령이 12일 저녁 경기 성남 서울공항에서 환영나온 이들과 인사한 뒤 승용차로 향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최고인민위원회의 시정연설에 대한 입장을 밝힐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이날 수석·보좌관 회의를 주재하고 최근 있었던 한미정상회담과 향후 외교정책 구상을 밝힌다. 아울러 이 자리에서 남북정상회담 준비를 위한 대북특사 파견에 대한 언급도 나올지 주목된다.

앞서 김 위원장은 지난 12일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에서 "미국이 올바른 자세를 가지고 우리와 공유할 방법론을 찾은 조건에서 제3차 조미(북미) 수뇌회담을 하면 한 번은 더 해볼 용의가 있다"면서도 "(남측은) 오지랖 넓은 '중재자'·'촉진자' 행세를 할 게 아니라 민족의 이익을 옹호하는 당사자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의 이런 발언에 트럼프 대통령도 '3차 북·미 회담을 할 용의가 있다'는 뜻을 밝혔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노동신문]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노동신문]

문 대통령은 이날 김 위원장과 소통하겠다는 메시지를 낼 것으로 관측된다. 청와대 내에서는 문 대통령이 한미정상회담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대북 대화 의지를 거듭 확인한 만큼,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이 다시 궤도에 오르도록 소통하겠다는 메시지를 낼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김 위원장의 최근 발언에 대해서도 '북미정상회담 개최 용의'에 방점을 두고 해석하면서 대화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할 것이라는 게 청와대 관계자들의 전망이다.

대북특사 파견 여부에 대한 언급도 나올 수 있어 주목된다. 문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조만간 남북정상회담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힌 만큼 남북정상회담 준비를 위한 대북특사 파견 여부도 관심사다.

청와대 내부에서도 대북특사 파견 방침 자체는 사실상 굳어진 것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으며, 이 고위 관계자 역시 '대북특사 가능성에 대한 언급도 있느냐'는 질문에 "아마 그 이슈를 포함해 대통령의 언급이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답했다.

다만 다른 청와대 관계자는 "문 대통령이 내일 한미정상회담에 대한 평가와 남북정상회담에 대한 기대 말씀은 있지만, 대북특사 파견과 관련한 구체적 언급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정은혜 기자 jeong.eunhye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