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군대식 조직문화 바꾸고, 순혈주의 인사관행 깨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지영조, 비어만, 동커볼케(왼쪽부터). [뉴시스·뉴스1]

지영조, 비어만, 동커볼케(왼쪽부터). [뉴시스·뉴스1]

‘정의선 시대’에서 가장 주목받는 인물은 지영조 전략기술본부장(사장)이다.

삼성전자 출신인 지 본부장은 현대차그룹 역사상 최대규모(약 3400억원)인 ‘인도의 우버’ 올라(OLA) 투자를 주도했다. 지난해 동남아 차량공유 1위업체인 그랩에 2800억원을 투자할 때도 실무를 총괄했다. ‘모빌리티 서비스 업체’로 변신을 꿈꾸는 정의선 수석부회장의 미래전략의 ‘키맨’이라는 게 그룹 내 평가다.

외국인 최초로 연구개발본부장에 오른 BMW 출신 알버트 비어만 사장도 정의선의 사람으로 통한다. 그룹 연구·개발(R&D) 쌍두마차였던 양웅철·권문식 부회장이 동반 퇴진한 뒤, 그룹 R&D의 총괄 책임자가 됐다. 비어만 사장 취임 이후 ‘상명하복’식 조직문화였던 현대차 연구소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프로젝트별 협업과 태스크포스(TF) 방식 개발 문화가 이식되는 중이다.

관련기사

피터 슈라이어로 시작된 디자인 변화는 벤틀리 출신 루크 동커볼케 디자인최고책임자와 이상엽 현대차 디자인센터장(전무)으로 이어졌다. KT 출신인 서정식 ICT본부장(전무)과 이달 영입된 윤경림 오픈이노베이션 전략사업부장(부사장)도 ICT기업의 체질 이식을 위해 투입된 인물이다. 정 수석부회장은 지난해에만 4명의 부회장을 퇴진시키고 그룹 기획·전략을 총괄했던 김용환 부회장과 정진행 사장을 현대제철·현대건설 부회장으로 옮기게 했다. 그룹 관계자는 “미래 사업은 새로운 인물에 맡기고, 그룹 내 전통적인 산업 영역은 기존 경영진에 맡기는 정 수석부회장의 용인술”이라고 설명했다.

오원석 기자 oh.wonse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