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외환위기 때보다 더 결혼 안 한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4면

지난해 국내 혼인 건수가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경제가 어려울수록 결혼하는 부부는 줄어드는 경향을 보인다. 불황에 결혼을 미루거나, 포기하는 국민이 지난해 정점을 찍었다는 의미다.

일자리 없고 집 구하기 힘들어 #작년 1000명 중 10명꼴 혼인 #“부모 도움받는 사람만 결혼할 판”

2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혼인·이혼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인구 1000명당 혼인신고 건수(조혼인율)는 5건으로 전년 대비 0.2건 줄었다. 결혼한 부부 두 사람이 한 건의 혼인신고를 하게 되므로 인원수로 따지면 1000명 중 10명만 결혼했다는 의미다. 이는 통계를 작성한 1970년 이래 가장 낮았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조혼인율은 외환위기·금융위기 등 한국 경제 위기 국면에서 급격히 줄어들었다. 경제성장률이 -5.5%(1998년)로 크게 떨어진 외환위기 당시 조혼인율은 1996년 9.4건에서 2년 새 8.0건으로 떨어졌다. 성장률이 5%대로 회복된 2006년부터는 다시 회복세를 보이다 금융위기 전후로 또다시 크게 줄었다. 성장률 2~3%대 저성장기에 들어간 2012년부터는 꾸준히 결혼 인구가 감소했다.

청년 실업난(15~29세 실업률 9.5%)에 한창 결혼을 많이 했던 연령대에서 혼인 건수가 더 크게 줄었다. 지난해 30대 초반 남자의 혼인 건수는 5300건으로 전년 대비 5.4%, 20대 후반 여자는 3300건으로 3.5% 줄었다. 결혼하는 청년층이 줄어든 결과는 출산율 저하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출산율은 사상 최초로 1명 이하로 줄어든 0.98명을 기록했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전문가들은 경제가 어려울수록 양질의 일자리가 줄어드는 데다, 금리가 낮아 신혼집을 구할 목돈을 저축으로 마련하기 어려워진 것도 혼인율 감소에 한몫하고 있다고 분석한다. 통계청이 집계한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지수는 2008년 60.2에서 지난해 99.6으로 올랐다. 6000만원이면 얻을 수 있었던 전셋집이 10년 새 1억원 가까이 올랐다는 의미다.

윤창현 서울시립대 경영학부 교수는 “집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결혼을 하지 않으려는 여성이 늘고 있다”며 “저금리 상황에선 목돈 마련도 어렵기 때문에 부모 지원 능력이 받쳐주는 사람만 결혼할 수 있는 실정”이라고 강조했다. 전체 혼인 건수도 25만7600건으로 전년 대비 2.6% 감소했다. 청년 혼인 인구 감소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인 간 혼인은 줄었지만, 외국인 남녀와의 혼인은 8.9% 늘어난 2만2700건에 달했다. 한국 남자는 베트남(38.2%)·중국(22.1%)·태국(9.4%) 국적. 한국 여자는 중국(24.4%)·미국(23.6%)·베트남(9.6%) 국적 이성과 결혼하는 비중이 높았다. 통계청은 한류 열풍 등이 외국인 간 결혼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이혼 건수는 지난해와 비슷했다. 인구 1000명당 이혼신고 건수(조이혼율)는 2.1건으로 2015년 이후 4년 연속 같은 수치를 유지했다. 다만 은퇴 시기에 다다랐거나 자녀를 성년으로 키우고 갈라서는 황혼이혼은 꾸준히 늘었다. 혼인 기간 20년 이상인 황혼이혼이 9.7% 증가했다.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고령화가 진행되고 기대수명도 계속해서 늘다 보니 황혼 이혼도 많아졌다”며 “부모의 도리를 강조하는 유교적 사고에 따라 미성년 자녀를 키울 땐 이혼을 미루다가 독립시킨 뒤에 이혼하는 부부도 느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세종=김도년 기자 kim.dony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