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국정원 "영변은 가동 중단, 동창리 발사장은 복구 징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국가정보원은 5일 북한이 영변 핵시설 가동은 중단했지만,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의 경우에는 복구 징후가 있다고 국회에 보고했다.

국정원은 이날 서훈 국정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국회 정보위원회 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정보위원들이 간담회 직후 공개 브리핑과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전했다.

서 원장은 "북한 영변 5㎿(메가와트) 원자로는 작년 말부터 가동이 중단된 상태며 현재 재처리 시설 가동 징후는 없다"면서 "풍계리 핵 실험장도 지난해 5월 폐기 행사 이후 갱도가 방치된 상태로 특이동향은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국정원은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에 대해서는 문건에서 "동창리 철거 시설(2018년 7월) 중 일부 복구 움직임"이라고 명기했다. 이와 관련 서 원장은 "동창리 복구 움직임은 두 가지 가능성이 있다. 하나는 북미정상회담 후 미국 측 검증단에서 핵이나 장거리미사일 관련 시설을 폭파할 때 대단한 시설을 없애는 것처럼 보이기 위해서이며, 다른 하나는 회담이 잘 안 됐을 경우 장거리미사일을 다시 재개하기 위해서"라고 말했다고 복수의 정보위원이 전했다.

복구 수준과 관련해서 서 원장은 "지붕과 문짝을 다는 정도에 불과"했다고 한다.

평안북도 철산군에 있는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은 미 본토를 타격할 수 있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발사할 수 있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해 9월 평양공동선언에서 동창리 엔진시험장과 미사일 발사대를 유관국 전문가들의 참관하에 영구적으로 폐기하기로 했다.

5일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원회에 참석한 서훈 국가정보원장. 임현동 기자

5일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원회에 참석한 서훈 국가정보원장. 임현동 기자

서 원장은 또 2차 북·미 정상회담의 결렬 원인 중 하나로 거론된 북한의 추가 핵 시설과 관련해 “한미 군사 당국이 상세히 파악하고 있고, 면밀히 감시 체제를 가동 중”이라고 밝혔다. 다만 구체적인 위치에 대해선 “밝히긴 어렵다”고 말했다.

2차 북·미 정상회담의 결렬에 대한 국정원의 분석도 소개됐다. 정보위원인 더불어민주당 김민기 의원은 “미국이 비핵화 프로세스에 대한 포괄적 합의에 주력했지만, 북한은 단계별 순차적 이행에 주안점을 두었고, 이에 따른 제재 해제 문제에 이견을 보여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고 보고받았다”고 말했다. 서 원장은 또 “북한이 내부적으로 당초 회담 결과에 대해 상당한 기대가 있었으나 합의 불발에 실망감을 나타냈다”며 “99가지가 합의돼도 나머지 1개 안 되면 전체 100개가 무산되는 협상의 일련의 과정이다”고 설명했다.

서훈 국가정보원장이 5일 국회 정보위원회 회의에서 정보위원들의 질의를 받고 있다. 임현동 기자

서훈 국가정보원장이 5일 국회 정보위원회 회의에서 정보위원들의 질의를 받고 있다. 임현동 기자

새로운 핵 시설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지역으로 중앙일보가 이날 보도한 분강 지역과 관련해 서 원장은 “분강은 행정구역명이다. 영변 핵 시설이 포함된 지역이며 분강 안에 영변 핵 시설이 있다”이라면서도 “언론 보도에 대해 답할 수 없다. 분명한 건 핵 시설을 파악하고 있고, 미국이 말한 핵 시설이 뭔지는 말할 수 없다”고 답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서울 답방과 관련해 서 원장은 “북한이 합의 불발에 따른 내부 전략 검토 기간이 필요하므로 서둘러서 답방 문제를 고려할 때는 아니다”라고 답했다.

유성운·이우림 기자 yi.wooli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