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보 해체 논란에 한국당 “문명파괴 행위”

중앙일보

입력

자유한국당 김병준 비대위원장(오른쪽)이 25일 오전 국회에서 마지막 비대위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유한국당 김병준 비대위원장(오른쪽)이 25일 오전 국회에서 마지막 비대위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유한국당이 25일 4대강 보 해체 추진을 둘러싼 찬반 논란과 관련, “탈원전 정책과 함께 대한민국의 문명을 파괴하는 행위”라며 반대 입장을 밝혔다.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대위회의에서 “사업 추진 과정에 문제가 있었다고 하지만 홍수와 가뭄 해결에 효과가 명백하고, 또 수천억원짜리 국가시설물이기도 한데 7년도 안 돼서 수백억원을 들여 해체하겠다고 하니 말이 안 된다”면서 “어리석은 짓”이라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오죽하면 해당 지역의 더불어민주당 소속 자치단체장이 반대하고 보를 유지했으면 좋겠다는 공문을 청와대로 보내겠느냐”며 “문재인 정부가 적폐청산이라는 이름으로 민주노총과 결탁해 자유시장 경제의 근간을 흔들고, 환경주의자들에게 포획돼 탈원전으로 국가 에너지 기반도 파괴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이 정부가 하고 있는 크고 작은 일들을 국민께서 큰 눈으로 본다면 문명 파괴적 행위나, 대한민국 국민, 또는 국격과 어긋나는 일들을 하고 있는 게 큰 그림으로 다가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나경원 원내대표도 “최근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보 해체 결정을 보면 ‘오기’라는 말밖에는 설명되지 않는다”며 “이념과 과거 정부를 상대로 한 오기를 넘어 이제는 국민에게 오기를 부리려고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나 원내대표는 “최근 환경부는 금강과 영산강의 5개 보 중 세종·공주·죽산보를 해체한다며, 이들 보가 수질을 악화시킨다는 조사결과를 내놓았다”면서 “이번 조사는 지난해 감사원 조사와 비교하면 조사결과를 뒤집고 조작했다는 의심이 든다”고 주장했다.

그는 “감사원이 지난해 네 번째 4대강 감사를 하며 사업 이후 수질 개선이 된 곳은 44.3%, 같은 곳은 42%, 나빠진 곳은 18%에 불과하다고 했다”며 “하지만 이번엔 기준을 바꾸고 채집증거 수도 바꾸고, 사실상 그들의 입맛대로 결론을 만들었다”고 했다.

김은빈 기자 kim.eunb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