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광장 엇박자’ 행안부-서울시 "연말까지 대안 찾는다"

중앙일보

입력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 과정에서 정부서울청사 부지 침범, 부속건물 훼손 논란으로 갈등을 빚고 있는 행전안전부와 서울시가 올해 안으로 해결 방안을 찾는다.

행안부와 서울시는 24일 오전 관계자 회의를 열고 정부서울청사 기능 및 관리 문제 해결을 위해 협력하기로 약속했다. 두 기관은 앞으로 ▶성공적인 광화문광장 조성을 위해 공동 노력하고 ▶서울청사 부속 건물 및 부지 포함 문제는 도시계획 시설 결정, 설계 과정에서 서로 충분한 의견을 조율하며 ▶이를 위해 과장급 실무 협의체를 구성‧운영한다고 합의했다.

행정안전부는 서울시가 추진하는 새로운 광화문광장에 정부서울청사의 주차장과 부속 건물(빨간선) 등이 수용되는 것은 곤란하다는 입장이다. [그림 행안부]

행정안전부는 서울시가 추진하는 새로운 광화문광장에 정부서울청사의 주차장과 부속 건물(빨간선) 등이 수용되는 것은 곤란하다는 입장이다. [그림 행안부]

서울시 측은 “이번 공모 당선작인 ‘깊은 표면(Deep Surface)’이 제시한 정부청사 내 공간 활용계획은 당선자의 창의적 제안으로, 확정된 계획이 아니다”고 말했다. 서울시와 연말까지 진행되는 실시설계 과정에서 행안부와 협의해 공간 기능에 대한 대안을 찾고 최종 설계에 반영한다는 계획이다.

관련기사

앞서 서울시가 지난 21일 새로운 광화문광장 당선작으로 ‘깊은 표면(Deep Surface)’를 발표하자, 23일 행정안전부는 “정부서울청사 일부 건물과 부지가 일방적으로 광화문광장 공원·도로 등으로 편입됐다”면서 “이렇게 되면 건물이 기능을 잃어 수용이 불가하다는 입장”이라는 공개적으로 반대 의사를 밝혔다. 당선작 설계에 따르면 서울청사 부지 1만8582㎡ 중 60%(1만264㎡)가 역사광장에 수용되게 돼 있다. 특히 행안부와 전혀 협의 없이 당선작을 발표하면서 서울시가 지나치게 성급하게 광화문광장 조성에 매달리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상재 기자 lee.sangjai@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