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시선2035

내가 널 어떻게 키웠는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8면

민경원 기자 중앙일보 기자
민경원 대중문화팀 기자

민경원 대중문화팀 기자

JTBC 금토극 ‘SKY 캐슬’에서 제일 불쌍한 사람은 누굴까. 처음엔 김혜나(김보라)라고 생각했다. 유일한 피붙이인 엄마는 일찌감치 죽고, 뒤늦게 알게 된 아빠란 인간은 권력에 눈이 멀어 마지막 순간까지 도움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 뒤로도 여러 차례 바뀌었다. 억울하게 살인 누명을 쓴 황우주(찬희)나 서울대 의대 진학을 코앞에 두고 꺾인 강예서(김혜윤) 등 불쌍한 사람 천지였다.

하지만 윤 여사(정애리)가 강준상(정준호)을 향해 “너 병원에 사표 낼 거면 날 죽이고 내”라고 외치는 순간 확신했다. 오십 평생을 엄마의 바람을 충족시키기 위해 고군분투한 아들의 삶도 안쓰러웠지만, 아들의 성공이 곧 존재의 이유인 엄마라니. 연민을 넘어 충격과 공포다. 자녀와 자신을 인격적으로 분리하지 못할뿐더러 철저히 일체화하고 있을 때만 나올 수 있는 말이다.

등장인물들은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모두 자녀와 완벽히 분리되지 못했다. 한서진(염정아)이 딸의 성과를 두고 “우리가 함께 만들어 온 것들”이라고 말하는 것도, 김주영(김서형)이 입시 코디로 활동하며 잘난 아이를 둔 가정을 파괴하는 것도 자신의 노력 혹은 상실에 대한 보상심리가 발현된 행동이다. 이들의 삶에서 조금이라도 자신으로서 존재할 여지가 있었더라면 이 지경까지 오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내가 너를 어떻게 키웠는데”라는 말은 그래서 아프다. 자식을 통한 대리만족에 올인하는 대신 스스로 자신의 인생을 조금만 더 돌봤더라면, 타인의 시선에서 조금만 더 자유로울 수 있었더라면 훨씬 더 풍요로운 삶을 살 수 있었을 텐데. 이런 사람은 친구·연인·부부는 물론 회사와 동료를 향해서도 비슷한 말을 쏟아낼 것이다. “내가 너를 얼마나 사랑했는데” “내가 얼마나 희생했는데” 등등. 자존감의 빈 자리를 다른 것으로 채우려 하면 할수록 그 구멍이 더 커질 뿐이다.

극 중 강준상은 “주남대 의사가 아니더라도 그냥 엄마 아들이면 안돼요?”라고 묻는다. 안 된다. 엄마와는 별개로 ‘그냥 강준상’이어야 한다. ‘그냥 차세리’로는 만족 못 하는 아빠에게 독립해 스스로 하고 싶은 일을 찾아 나서는 세리(박유나)처럼, “우리 엄마는 날 있는 그대로 사랑해줬어요”라고 말할 수 있는 혜나처럼 말이다.

15살이 됐든, 51살이 됐든 홀로서기가 필요한 시점은 반드시 온다. 그렇다면 하루라도 빨리 연습하는 편이 낫지 않을까. 하루라도 더 제대로 된 자신의 인생을 살기 위해서라도 말이다. 그래야 ‘SKY 캐슬’은 비극으로 끝나도 우리 삶은 희극이 될 수 있다.

민경원 대중문화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