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우 “조국 지시라며 내게 1계급 특진 약속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조국 민정수석이 19일 청와대에서 열린 문재인 대통령의 김종양 인터폴 총재 접견에 참석했다. 조 수석은 김태우 수사관의 폭로에 대해 ’수사를 받고 있는 비위 혐의자의 일방적 진술“이라고 말했다. [뉴시스]

조국 민정수석이 19일 청와대에서 열린 문재인 대통령의 김종양 인터폴 총재 접견에 참석했다. 조 수석은 김태우 수사관의 폭로에 대해 ’수사를 받고 있는 비위 혐의자의 일방적 진술“이라고 말했다. [뉴시스]

“이번 주, 저한테 무슨 일이 생기지 않겠습니까?”

전 특감반원 주장 #“친여 인사 비트코인 보고서 요구 #박형철이 복귀 약속 … 내가 속아”

청와대 특별감찰반원이었던 김태우 검찰수사관이 18일 늦은 밤 중앙일보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내뱉은 첫마디다. “휴가를 내고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내고 있다”고도 말했다. 대검 감찰조사가 수사로 전환된 상황에서 신변에 변화가 생길 것이란 걸 짐작하는 듯한 말투였다.

김 수사관은 특감반 근무 당시 “야당 정치인과 언론사에 대한 동향 보고도 작성했다”고 밝혔다. 김 수사관의 주장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상당한 파장이 예상된다. 문재인 정부의 정치 개입과 사찰 의혹으로 비화할 가능성 때문이다.

김 수사관은 이런 내용을 “이인걸 특감반장에게 직접 보고했다”고 밝혔다. 보고는 문서 형태가 아닌 보안 유지가 잘 되는 텔레그램 메신저를 통해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김 수사관은 “저는 보고서를 바로 쓰지 않는다”며 “보고를 한 뒤 (특감반장이) ‘오케이’하면 쓴다”고 말했다. 이런 식의 보고는 “수도 없이 많다”고 주장했다.

기자가 “야당 정치인 및 언론사에 대한 동향 보고가 포함돼 있느냐”고 다시 한번 확인하자 김 수사관은 단호한 목소리로 “네”라고 답했다. 다만 정치인의 구체적 이름이나 첩보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다.

김 수사관은 자신이 작성한 노무현 정부 출신 인사들의 암호화폐 관련 동향 보고의 배경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지난해 12월 비트코인 광풍이 불 당시 이를 잠재우기 위해 참여정부 출신 인사들이나 암호화폐 관련자들에 대해 조사해서 보고서를 올리라고 했다. ‘수사가 이뤄져 비트코인 업체를 처벌할 수 있을 만큼 되면 1계급 특진해 준단다’ ‘(조국 민정)수석님 지시다. 수석님이 1계급 특진을 해 준다’고 박형철 반부패비서관이 회식 자리에서 내 맞은편에 앉아 직접 지시했다.”

관련기사

김 수사관이 암호화폐와 관련해 정보를 수집한 인사들은 대부분 민간인이었다.

김 수사관은 자신에 대한 감찰을 ‘불법’으로 규정하며 “독수독과”라고 주장했다. ‘독수독과’는 위법하게 수집된 증거에 의해 발견된 2차 증거의 능력을 인정할 수 없다는 법학 이론이다.

김 수사관은 감찰 시작의 배경이 된 자신의 경찰청 특수수사과 방문을 두고 “지인 사건을 조회해 경찰이 문제를 제기했다”고 한 보도는 잘못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첩보로 쓴 내용이 기사화돼 기분이 좋았다. 직속 상관인 사무관(특감반 데스크)에게 말하니 ‘성과를 정리해 보고해야 하니 잘했던 것들을 알아보라’고 해 경찰청을 찾은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를 계기로 청와대 특감반은 김 수사관의 휴대전화를 임의 제출받아 포렌식 분석에 들어갔다. 김 수사관은 ‘경찰청 방문’건에 한해서만 조회에 동의했다고 한다. 그런데 청와대가 자신이 동의하지 않은 부분의 포렌식에서 나타난 ‘골프 향응 접대’ 등의 의혹으로 자신을 궁지에 몰아넣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경찰청 조회 건 외에 다른 부분은 내가 동의하지 않은, 불법 증거 자료에 의한 불법 감찰이다. ‘독수독과’다”고 말했다. 그는 “이인걸 반장이 억울함만 풀리면 바로 복귀시켜 준다고 해 제출했다”며 “박형철 비서관도 ‘살아만 와라. 너 좋아하는 거 알지?’라고 말해 고스란히 믿었다. 완전히 속았다. 분하다”며 서운함을 숨기지 않았다. 그는 폭로 이유를 “사익이 아닌 공익을 위해서”라고 설명했다.

김기정·정진호 기자 kim.kijeo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