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계 국민복지에 눈돌렸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지난해 11월 결성된 순수민간기구인 생명과학 정책수립위원회(위원장 조완규 서울대총장)는 최근 첫 세미나를 서울 라마다 르네상스호텔에서 열고 생명과학을 민생복지와 연결하는 사업에 착수했다.
이번 세미나의 주제는 「생명이 존중되는 복지사회 건설」이며 3월에 중간세미나, 6월에 최종세미나를 열어 생명과학정책의 주요 지표를 도출, 정부에 건의하게 된다.
세미나에서 보건 분과위의 맹광호 교수(카톨릭의대·예방의학)는 2000년의 첨단생명과학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해 중간기술에 속하는 의공학 기술을 개발하고 기초의학연구와 각종예방·치료약제 개발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새로운 의용기기 개발과 기존 기기의 국산화 및 인공장기개발을 위해 전문인력이 양성돼야하며 정부차원의 의공학 연구소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약개발은 정부가 기술개발을 주도하고 민간이 참여하며 생산단계에서는 민간기업이 주도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환경분과위의 정용 교수(연세대환경 공해 연구소장)는 자원과 에너지를 적게 사용하는 새로운 기술의 개발로 환경 오염물질과 배출량을 최대한으로 줄이고,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완벽하게 처리하는 기술개발에 진력해야하며 이를 위한 생명과학기술의 도입과 육성방안이 적극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농업분과위의 박효근 교수(서울대 농대·원예학)는 21세기 후반부터는 생명공학적 기법의 성과가 중요시되는 분야가 현재의 보건의약품분야에서 농림수산업부문으로 바뀔 것으로 예견, 새로운 품종의 작물육성과 대량증식·병충해방제 등 재배와 육림의 개선에 초점이 맞춰질 것이라고 말했다. 또 몇개 대학이 공동으로 운영하는 농업유전공학연구소가 중부·호남·영남권에 하나씩 설립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자원분과위의 정종준 박사(동력자원연구소 바이오매스 연구실장)는 탈석유·탈공해 목적의 청정에너지자원 확보를 위해 바이오매스자원의 이용에 관심을 두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내의 가용 바이오매스자원은 산림·농산·축산·수산·도시폐기물 등 연간 1억5천만t으로 이를 통한 바이오가스 생산량은 약10억 입방m가 되며 이는 석유환산열량으로 1천만t에 해당되는 막대한 양이 된다고 그는 말했다.
홍박사는 에너지자원 확보를 위한 대책으로 ▲바이오매스 해외자원 개발촉진 ▲바이오가스·알콜 등 연료용 대체에너지의 개발보급 ▲유기질 미 이용자원의 에너지 전환 ▲새로운 바이오자원의 합성 등이 필요하며 이를 통한 에너지대체율은 3%정도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공업분과위의 장호남 교수(한국과학기술원·화공과)는 2000년까지는 우리의 자체기술로 생명공학분야에서 신물질 2∼3개와 새로운 생화학반응을 이용하는 신공정 2∼3개 정도가 개발돼야 한다고 밝히고 생산성향상을 위한 생물반응기, 정제수율 향상, 컴퓨터 공정제어 등 핵심 3대 기술개발에 전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장교수는 또 ▲영상계측장치 ▲생체신호계측 장치 등 현재 수입되고 있는 값비싼 의료장비의 국산화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