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책과주말을] 미술 교육은 미친 짓이다 ?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2면

학교 안의 미술 학교 밖의 미술
제임스 엘킨스 지음, 장호연 옮김
책세상, 367쪽, 1만5000원

'미술은 가르칠 수 있는 예술 장르인가?' 묻고 싶을 때가 있다. 부모라는 이름이 붙고 나면 벗어날 수 없는 아이 교육, 적확하게 말하면 대학입시 때문이다. 내신 성적에 미술 과목이 들어가니 신경을 쓰지 않을 수 없다. '미술을 평가하는 객관적 잣대라는 것이 있기는 한 걸까?' 의심스러워지는 것이다. 미술 학원의 모범답안이 한국 미술을 망치고 있지 않나 싶다. 미대 시험을 운전면허시험에 비유하는 비아냥이 나오는 까닭이다.

이 책의 원제는 '미술은 왜 가르칠 수 없는가'다. 꽤 날카로운 도발이다. 대학 수준의 미술 교육에 관련된 사람들을 위해 쓴 안내서라지만 한국 상황에서는 미술에 관심 있는 이 누구나 읽어도 건질 내용이 많다. 서양 미술학교의 역사를 훑고 난 뒤 미술 교육 방식을 논하고 그 이론과 평가 과정을 적나라하게 묘사하고 나서는 "미술을 가르친다는 생각은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터무니없다"고 썼다.

미술 학교의 평가 시간이 얼마나 우스꽝스러운가를 '사이코드라마'라는 한 마디로 설명하는 것을 보면 지은이가 미술 교육 현장에서 느낀 고민이 얼마나 컸는가를 알 수 있다. 지은이 제임스 엘킨스(시카고 아트 인스티튜트 미술사학과 교수)는 이미 '과연 그것이 미술사일까?'에서 서양미술사 400년의 편견을 지적해 독자를 즐겁게 했다. 서구미술과 미술사에 휘둘린 한국 미술 교육을 비추어주는 거울 같은 책이다.

정재숙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