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제수호」정치쟁점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노태우 대통령의 「체제수호전선」발언으로 정가에는 보수연합논의가 일어나는 등 파문이 일고있다.
노태우 대통령은 여권에서 여소야대 정국의 불안정성을 타개하고 운동권의 급진적 사조에 효과적으로 맞서기 위한 대응책으로 오래 전부터 모색해온 보수대연합의 필요성을 14일 당무회의에서 처음으로 공식화해 주목을 끌었다.
정가에서는 여권이 보수정당인 민주·공화당과 제휴를 모색하고 궁극적으로는 사회각계의 보수세력을 하나의 틀에 연대화 하려는 구도로 관측하고 있으나 민주당은 물론 공화당은 이 같은 여권구상에 냉담하거나 부정적 반응을 보여 귀추가 주목된다.
이 같은 정계움직임을 예의 주시해온 평민당의 김대중 총재는 최근 자구책으로 강경 노선으로 노선재정립을 모색해 적극 대처한다는 구상인 것으로 알려져 향후 정국은 여야간의 체제수호 공방을 축으로 움직여질 것으로 보인다.
평민당은 15일 체제수호 야당과 협력할 필요가 있다는 노 대통령의 보수연합 시사발언에 대해 이미 염려했던 상황이 점차 가시화 되고 있다는 판단아래 이를 중대한 문제로 규정하면서도 당 차원의 공식대응은 정부·여당의 구체적 진의를 파악한 뒤 결정한다는 입장을 정리했다.
이상수 대변인은 이날 확대간부회의 후 『회의에서는 이 문제가 일체 거론조차 되지 않았다』고 강한 부정적 태도를 보인 뒤 『정확한 내용을 접하지 않은 현재로서는 논평하지 않기로 한 것이 당 방침』이라고 말했다.
민주당도 이날 확대간부회의를 열고 노 대통령이 시사한 체제수호 범 국민연합전선에 대해 자유민주주의가 정략적 수단으로 이용돼선 안 된다며 부정적 입장을 표시했다.
김영삼 총재는 『민정당이 정권유지수단으로 타당을 이용해선 안 된다』고 말하고 5공 비리 청산을 촉구했다.
공화당의 김종필 총재도 이날 이에 대해 『정부·여당 쪽에 물어 보라』고 냉담한 반응을 일단 보였으나 공화당은 앞으로 상황의 전개에 따라 신축적 대응을 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