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장하성 경제인식 나와 같다고 하긴 어렵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왼쪽)과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 오종택 기자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왼쪽)과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 오종택 기자

문재인 정부의 경제정책팀 내부 갈등설이 불거진 가운데,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1일 “장관들끼리도 많은 토론을 한다”며 “서로 생각이 100% 똑같은 것만 건설적인 것은 아닌 것 같다”고 밝혔다.

김 부총리는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기본적으로 큰 상황에 대한 인식, 문제의 원인에 대한 진단, 앞으로 가야 할 큰 방향에 대해 같은 방향이고 같은 인식이라고 생각한다”며 이렇게 말했다.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과 경제 인식 및 진단에 차이가 있다는 지적에 대해선 “일률적으로 ‘같다·틀리다’고 하기는 어려운 사항”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김 부총리는 “시장과의 소통과 정책 우선순위에 조율이 필요한 점도 있지만, 경제를 보는 시각이나 진단에서는 궤를 같이한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이어 “청와대 정책실장은 청와대 안에 있는 스태프(참모)이고, 결과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제가 져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연말이면 (상황이) 좋아질 것이라 생각하느냐’는 김성식 바른미래당 의원의 질문에는 “최선을 다하겠지만 이른 시간 안에 회복되기는 쉬워 보이지 않는다”고 답했다.

“연말까지 고용 상황이 회복될 것”이라는 장하성 정책실장의 발언에 대해선 “최선을 다해 국민께 빨리 성과를 내보이겠다는 의욕의 표시로 이해한다”고 말했다. 이어 “빨리 좋아졌으면 하는 바람을 피력한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앞서 김 부총리는 지난 19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당·정·청 회의에 참석해 “(소득주도 성장은) 최저임금 인상뿐 아니라 생계비 절감과 사회안전망 투자 등을 포함한 정책 패키지”라며 “시장과의 소통, 수용성 문제 등을 고려해 정책에 대한 조율·개선 등이 필요하다는 게 제 생각”이라고 밝혔다.

반면 장하성 정책실장은 “소득주도 성장, 혁신 성장, 공정경제 정책들이 효과를 내기 시작하면 경제가 활력을 띠고 고용 상황이 개선될 것을 확신한다”며 “정부를 믿고 조금만 기다려달라”고 말했다.

대조를 이룬 두 사람의 발언은 경제정책 ‘투톱’ 간의 시각차를 재차 부각시키며 논란을 낳았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