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이틀 운영하는 '모래사장' 행사…"폭염에 전시행정" 논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불볕더위가 계속된 10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 앞 광장에 마련된 미니 인공해변이 썰렁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오른쪽 사진은 이번 ‘2018 서울 문화로 바캉스’의 모티브가 된 프랑스 파리 센 강변에서 개장하는 인공해변 ‘파리 플라주(Paris Plage)’. 정은혜 기자

불볕더위가 계속된 10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 앞 광장에 마련된 미니 인공해변이 썰렁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오른쪽 사진은 이번 ‘2018 서울 문화로 바캉스’의 모티브가 된 프랑스 파리 센 강변에서 개장하는 인공해변 ‘파리 플라주(Paris Plage)’. 정은혜 기자

서울시가 서울광장에 '서울 문화로 바캉스' 축제 일환으로 모래사장을 만들어 10일 개장했다.

무더운 여름, 휴가를 떠나지 못하는 시민에게 도심의 문화생활을 제공한다는 취지다. 인천 앞바다에서 모래 15t을 공수해 조성한 모래해변은 10~11일 양일간 사용된다. 모래해변은 서울광장 '서울 문화로 바캉스' 행사가 시작되는 오후 5시부터 자정까지만 개방된다.

서울시는 지난 2008년부터 시민들을 위해 여름 도심 문화 축제인 '서울 문화의 밤'을 진행해왔다. 올해는 '서울 문화의 밤'대신 '서울 문화로 바캉스'로 이름을 바꿨다.

서울광장에서 15톤의 모래사장 위에 야자수와 파라솔이 설치된 미니 인공해변을 마련했다. 정은혜 기자

서울광장에서 15톤의 모래사장 위에 야자수와 파라솔이 설치된 미니 인공해변을 마련했다. 정은혜 기자

그러나 서울광장 모래사장을 향한 따가운 시선도 있다. 쪽방촌 거주자 등 무방비 상태로 폭염을 나는 시민들이 있는데, 서울시가 모래사장 조성에 예산을 낭비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이다. 폭염으로 사망에 이르기도 하는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 확대가 우선이라는 것이 비판하는 이들의 주장이다.

또 단 이틀간 도심 한복판에 조성된 모래사장에서 얼마나 많은 사람이 ‘문화 바캉스’를 즐길 수 있겠느냐는 문제 제기도 있다.

서울시는 오는 11일까지 서울광장과 광화문광장, 청계광장 등 도심 광장 3곳에서 ‘2018 서울 문화로 바캉스’를 연다. 오후 5시부터 인공해변이 개장되는 가운데, 한 노숙인이 서울광장에 앉아 물을 마시고 있다. 정은혜 기자

서울시는 오는 11일까지 서울광장과 광화문광장, 청계광장 등 도심 광장 3곳에서 ‘2018 서울 문화로 바캉스’를 연다. 오후 5시부터 인공해변이 개장되는 가운데, 한 노숙인이 서울광장에 앉아 물을 마시고 있다. 정은혜 기자

서울시 관계자는 "인공해변에 거대한 물량과 예산을 투입하는 건 아니고 포토존 규모의 작은 공간(324㎡)"이라고 해명했다. 또 "모든 시민을 만족시킬 수는 없지만 휴양지 분위기를 살려 축제에 참여한 시민들이 만족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시가 올해 ‘서울 문화의 밤(서울 문화로 바캉스)’에 책정한 예산은 5억2200만원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중앙일보에 "이번 서울 문화로 바캉스에 투입된 예산은 총 4억9000만원(서울광장, 청계광장, 광화문광장, 6개 문화시설서 진행)으로 그 중 40%가 서울광장에 쓰였다"고 밝혔다. 또, 모래해변에 투입된 예산은 총 1000만원 정도에 불과하다고도 덧붙였다.

'예산 낭비' 비판에 대해서는 "축제나 시 문화 행사는 항상 그런 공격을 받는 것 같다"며 "그런 부분도 있지만 도심에서 즐길 거리를 찾는 시민들도 있기 때문에 그런 분들을 만족시키고 좋은 시간을 드리는 것으로 설계했다. 문화 행사가 낭비적인 게 아니라 이 안에서도 많은 업체들이 생계를 유지하고 많은 매커니즘이 움직인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지난해 8월에도 서울 문화로 바캉스와 비슷한 행사로 평창겨울올림픽 홍보용 워터슬라이드를 광화문에 설치했다. 당시에도 이틀간 일부 시민만 누릴 수 있는 슬라이드 설치에 10~11억의 돈이 투입됐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예산 낭비라는 비판을 받았다. 더구나 비 때문에 행사 하루는 워터슬라이드 운영이 취소돼 논란이 커지기도 했다.

이에 서울시는 "시 예산은 2억5000만원을 부담했으며 나머지는 문화체육관광부, 평창겨울올림픽 조직위원회, 평창올림픽 후원사 KT·노스페이스·EF, 강원도가 부담했다"고 밝힌 바 있다.

 불볕더위가 계속된 10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 앞 광장에 마련된 미니 인공해변이 썰렁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정은혜 기자

불볕더위가 계속된 10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 앞 광장에 마련된 미니 인공해변이 썰렁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정은혜 기자

한편 올해 서울광장에 마련된 모래사장은 프랑스 파리에서 매년 7~8월 센 강변에 개장하는 인공해변 '파리 플라주(Paris Plage)'에서 착안했다. 파리시는 지난 2002년부터 여름휴가를 가지 못한 시민과 파리를 찾은 관광객들을 위해 인공해변을 운영하고 있다.

정은혜 기자 jeong.eunhye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