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영 “문 대통령 해외 MOU는 국위선양이고, 국내 대기업 투자 요청은 구걸이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바른미래당 김관영 원내대표는 6일 청와대의 ‘대기업 구걸 논란’에 대해 “청와대는 경제정책에 대해 더는 말하지 않는 것이 오히려 국민경제에 더 도움을 줄 수 있을 것 같다”고 비판했다.

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가 6일 '투자구걸' 논란이 벌어진 것과 관련 "경제 회복을 위해 기업의 투자와 고용을 독려하는 것이 구걸이 되나"라며 반문했다.[뉴스1]

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가 6일 '투자구걸' 논란이 벌어진 것과 관련 "경제 회복을 위해 기업의 투자와 고용을 독려하는 것이 구걸이 되나"라며 반문했다.[뉴스1]

김 원내대표는 이날 당 비상대책회의에 참석해 “경제 회복을 위해 기업에 투자와 고용을 독려하는 것을 구걸이라고 표현할 수 있냐”며 이같이 말했다.

대기업 구걸 논란은 지난 3일 한 언론이 김동연 경제부총리가 6일 삼성전자를 방문해 현안간담회를 하는 것에 대해 청와대 측이 기재부에 "투자ㆍ고용을 끌어내기 위해 재벌에 구걸하는 듯한 모습을 보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우려를 전달했다고 보도하며 촉발됐다. 이후 김 부총리는 이례적으로 입장문을 내 "(구걸이라는 표현은) 적절치 않다. 국민이 바라는 혁신성장과 일자리 창출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강하게 반박했다.

김 원내대표는 이에 대해 "문재인 정부 청와대 인사들의 인식이 대기업은 투자요청도 해서는 안 되는 악으로 여기는 건 아닌지 의문"이라며 "대기업들의 투자와 고용 없이 한국 경제가 제대로 유지되기 어렵다는 현실을 감안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경제 당국의 수장이 대기업 경영진을 만나 경제현안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기업의 애로사항을 청취하는 것은 당연하며 필요한 일"이라며 "상대적으로 투자 여력이 충분한 대기업들에 내수경제 활성화를 위한 투자와 고용을 늘려달라는 주문을 하는 것 역시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외국에 나가서 대통령이 다른 나라와 투자와 관련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면 국위선양이고, 국내 굴지의 기업들에 투자를 요청하는 것은 구걸이라고 한다면 청와대의 이런 저급한 인식에 많은 국민이 한숨만 보낼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 원내대표는 “바른미래당은 국내경제 활성화를 위해서 설사 구걸이라고 비판받더라도 기업들에 투자와 고용을 늘려달라는 요청만은 계속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안효성 기자 hyoz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