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오스 정부, 댐사고 원인 조사 위원회 구성…한국정부 참여 요청

중앙일보

입력

대규모 인명피해를 낸 라오스 보조댐 붕괴현장이 사고발생 5일만에 처참한 모습으로 처음 공개됐다. [연합뉴스]

대규모 인명피해를 낸 라오스 보조댐 붕괴현장이 사고발생 5일만에 처참한 모습으로 처음 공개됐다. [연합뉴스]

라오스 수력발전소 보조댐 사고의 원인을 조사하는 위원회가 한국 정부의 참여도 요청할 것으로 알려졌다.

4일 일간 비엔티안 타임스에 따르면 다오봉폰께오 라오스 에너지광산부 국장은 “보조댐 사고 원인을 조사할 위원회를 구성했으며 임무를 수행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다오봉 국장은 “조사위원회는 세피안-세남노이 수력발전소 사업에 주주로 참여한 기업들이 속한 국가들도 초청, 현장점검 등 참사 원인을 밝히기 위한 철저한 조사를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사업을 수주한 세피안-세남노이 파워 컴퍼니(PNPC)에는 시공을 담당한 SK건설과 한국서부발전 이외에 라오스 기업과 태국 최대 전력회사 등이 투자했다.

이와 함께 다오봉 국장은 “세계은행(WB)과 국제적으로 공인된 다른 독립 전문가들도 조사에 참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라오스 정부의 이 같은 조처는 조사의 공정성과 객관성을 담보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이날 국영 매체인 비엔티안 타임스가 “통룬시술릿 라오스 총리가 ‘보조댐 붕괴의 진짜 원인을 조사해 폭우에 의한 것인지, 댐 건설에 적용된 기술기준에 의한 것인지 밝힐 것’이라고 말했다”고 보도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특히 다오봉 국장은 “홍수 피해를 본 주민들에게 최고의 보상을 한다는 게 정부의 확고한 방침”이라며 “댐 개발사들과 보상이 공정하게 이뤄지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라오스 정부는 우선 수재민에게 가구당 약 50만 킵(약 6만6000원)을 제공할 것이라고 신화통신이 전했다.

한편, 신화통신은 라오스 구조 당국을 인용해 지난달 23일 라오스 남부 아타프 주에서 발생한 보조댐 사고로 지금까지 어린이 5명을 포함해 23명이 숨진 것으로 확인됐으며 108명이 실종상태라고 보도했다.

이지영 기자 lee.jiyoung2@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