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예금에 올인 말고, 자산 20%는 혁신기업 주식에 투자하라

중앙선데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593호 17면

노후대비 자산 운용 <1> 

한국의 노인빈곤율은 지난해 46.3%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다. 인구고령화 속도가 급격히 빨라지고 있지만 체계적인 노후 준비 없이 은퇴를 맞이한 베이비부머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중앙SUNDAY는 은퇴 전문가에게 듣는 ‘행복한 노년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노후 자금 굴리는 방법’을 3회에 걸쳐 소개한다.

기업 이익증가율, 임금인상률의 4배 #예금 등 안전 자산에만 의존하면 #은퇴 후 적정 생활비 확보 어려워

캐나다 요크대의 모세 밀레브스키 교수는 2012년 출간한 저서 『당신은 주식인가? 채권인가?』에서 인적자본을 개인의 자산운용에 반영하라고 조언한다. 개인의 생애자산은 인적자본과 금융자본의 합이다. 인적자본은 투자자의 인생전반에 걸쳐 노동을 통해 얻는 소득으로 실직, 성과급 감소 등에 따른 리스크가 있다. 가계의 소득 원천이므로 젊은 사람일수록 생애자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하지만 잔여 근속연수가 줄면서 은퇴시점에서는 거의 사라진다. 대신 근로소득에서 소비지출을 충당하고 남은 소득을 저축함으로써 은퇴시점에는 금융자본만 남게 된다. 이처럼 개인의 생애자산 변화는 인적자본에서 금융자본으로의 전환 과정이며, 생애주기의 변화는 근로자에서 자본가로의 변화 과정인 셈이다.

통계청의 ‘2017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은퇴부부의 월평균 최소생활비는 192만원, 적정생활비는 276만원이다. 아쉽게도 준비가 잘 되어 있는 가구는 매우 미미하다. 대다수의 은퇴가구는 생활비가 부족한 상태로 상대적 빈곤율은 거의 절반수준에 달한다. 평생을 일하고도 왜 이런 상황이 발생하고 있을까? 자산형성 과정에서는 ‘자본가’로 역할을 해야하는데 ‘근로자’ 역할만 계속하고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들여다보면 첫째, 임금인상률이 반영된 근로소득이 물가상승 등을 감안한 소비지출을 충당하고 노후자산을 준비할 만큼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지난 12년간의 실질임금소득 인상률은 기업이익 증가율의 25% 수준이다. 둘째, 가계자산의 대부분이 주거용 실물자산으로 구성되어 있고, 금융자산도 저금리 예금 같은 안정성 위주로 운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낮은 인상률의 근로소득과 저금리 금융상품 운용으로만 부를 축적한다는 것은 기업에 편중된 부의 혜택을 볼 수 없다는 의미다.

이를 만회할 방법은 기업의 이익 성장에 참여하는 것이다. 즉 주식에 투자함으로써 자본가가 되는 것이다. 다만 주식 투자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목적에 따라 투자를 세분화하는 목표중심투자가 필요하다. 최소생활비를 목적으로 원리금이 확보되는 투자에 50%, 적정생활비 확보를 위한 균형투자에 30%, 그리고 여유로운 생활을 위해 위험은 있지만 성장성이 높은 기업 주식에 20%를 투자하는 것이다. 특히 4차산업혁명, 고령화 등 경제의 메가트렌드에 맞는 글로벌 혁신기업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장기적립식 방법을 추천할 만하다.

60대 이상 은퇴 연령층의 가구소득 중 근로소득이 여전히 40%를 차지한다. 근로자에서 자본가로의 변화가 여의치 않았기 때문이다. 고정급여를 기본적으로 받게 되는 우리 사회의 구조에서 인적자본 모두가 주식형인 경우는 드물다. 퇴직에 임박하면 기대수익은 줄어드는 반면 리스크만 높아지는 불편한 상황이 되는 셈이다. 반면 젊은 세대일수록 주식 자산에 더 많이 투자해 기업의 이익성장에 참여할 시간적 여유가 충분하다. 퇴직을 앞둔 근로자건 이제 사회생활을 시작한 젊은층이건 인적자본을 보완할 방법은 명확하다. 지금부터라도 1가구 1기업 이상 주식을 통해 자본가로 변화를 모색할 때다.

신상근 삼성증권 은퇴설계연구소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