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전쟁 본격 시작…아이폰 비싸질까?

중앙일보

입력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왼쪽)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중앙포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왼쪽)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중앙포토]

6일 0시(한국시간 6일 오후1시)를 기해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를 강행함에 따라 미·중 무역전쟁이 본격화됐다.

이날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산 제품 340억 달러(약 38조원) 규모의 중국산 제품 818개 품목에 대해 대해 25%의 관세부과를 실행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는 단지 중국에 대해서만 적용되는 것”이라며 중국산만을 겨냥한 첫 번째 관세부과 조치임을 밝힌 바 있다. 500억 달러는 지난해 미국의 대중 상품수지 적자 3750억 달러 가운데 15%에 육박하는 규모다.

관세율 25%가 고스란히 가격 인상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기업의 제조 원가 상승, 수입가격 인상 등으로 양국의 주요 기업과 소비자에게 부담이 전가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이 예고한 중국산 관세부과 품목은 기계, 선박, 항공 등 산업 설비와 통신, 로봇 등 IT(정보기술)에 집중됐다. 미 당국이 소비자에게 미칠 여파를 최소화하겠다며 평면TV 같은 첨단 소비자 가전을 제외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냉수기, 소형 냉장고, 온도계, 공기 청정기 등은 여전히 명단에 남아 있다. 스마트폰, 컴퓨터, 장난감도 과녁에 올랐다. 지난해 미국인 소비자가 산 중국제조 휴대전화는 840억 달러 규모에 이르며, 컴퓨터 장비 670억 달러, 장난감 280억 달러 등이다.

특히 미 IT 대표 주자인 아이폰이 관세부과를 피해갈지 초미의 관심사다. 애플이 중국에서 만든 아이폰에 관세가 부과된다면 생산 단가 인상, 중국 내 입지 약화 등에 직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각에선 아이폰 관세 면제설도 나오고 있다. 지난달 뉴욕타임스(NYT)는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가 5월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중국산 아이폰의 관세 면제를 약속받았다고 보도했다. 앞서 정보기술혁신재단(ITIF)은 애플이 소비자에게 관세 부담을 넘길 경우 아이폰 가격이 800달러에서 960달러로 뛸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실제로 지금까지 부과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폭탄은 미국 소비자에게 직격탄이 됐다.

더 큰 문제는 소비자 피해가 미국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로도 번질 수 있다는 점이다. 일단 미·중 무역전쟁으로 가장 큰 피해를 입는 국가는 대만과 헝가리다. 로이터통신은 최근 미·중 무역전쟁 발발로 무역의존도가 높은 나라가 가장 큰 타격을 입는다며 세계 부가가치 사슬에서 높은 위치를 점한 나라가 큰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전망했다. 대만은 중국과 가장 긴밀하게 연결돼 있다. 예컨대 대만의 폭스콘은 중국에 공장을 건설해 애플 아이폰을 주문 제작하고 있다. 반도체가 대만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0%다. 더 큰 문제는 소비자 피해가 미국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로도 번질 수 있다는 점이다.

로이터는 대만과 헝가리 이외에도 체코 한국, 싱가포르 등이 정작 무역 분쟁의 당사자인 미국과 중국보다 더한 피해를 입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경제의 대외의존도가 높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미·중 무역전쟁이 호재인 나라도 있다. 로이터는 미·중 무역전쟁이 예고되자 베트남 직접 투자가 급증하고 있다며 중국의 인건비가 크게 오르자 대체 투자처로 베트남이 급부상하고 있기 때문이었다고 전했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