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민주당, 차기 당 지도부 선출서 ‘친문’ 권리당원 목소리 키운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더불어민주당 차기 지도부를 선출할 8·25 전국대의원대회(전대)의 윤곽이 확정됐다.

지난 2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전국대의원대회준비위원회의에서 오제세 위원장과 의원들이 대화를 나누고 있다. 왼쪽부터 민병두 부위원장, 오 위원장, 김민기, 김영진 의원. [뉴스1]

지난 2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전국대의원대회준비위원회의에서 오제세 위원장과 의원들이 대화를 나누고 있다. 왼쪽부터 민병두 부위원장, 오 위원장, 김민기, 김영진 의원. [뉴스1]

민주당은 29일 오전 당 전대준비위원회(전준위) 회의에서 대표와 최고위원을 분리 선출하는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를 도입하고, 경선에서 현장 대의원 투표 45%, 권리당원 자동응답시스템(ARS) 투표 40%, 일반당원 여론조사 5%, 국민 여론조사(안심번호) 10%를 반영하기로 했다.

전준위 간사인 김영진 의원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변경된 지도체제와 지도부 선출 방법, 비율 등은 당헌·당규를 정비해 반영하기로 결정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이번 안이 7월 첫 주 최고위원회의와 당무위원회를 거쳐 다음 달 13일 중앙위원회에서 최종 확정되면 후보 공모 절차에 들어간다”고 덧붙였다.

이번 전대의 관심사 중 하나는 대표·최고위원 경선에서 권리당원이 가져갈 몫이었다. 권리당원 수가 2016년 총선과 지난해 대선을 거치며 급격히 는 데다, 친문재인 성향의 열성 지지자가 많아 이들의 표심이 전대 결과의 주요 변수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김 의원은 “종전에 대의원과 권리당원의 비중 합산이 75%였는데 올 초 85%로 상향 조정하면서 증가분인 10%포인트를 모두 권리당원에게 배정했다”며 “늘어난 권리당원의 권리를 최대한 보장해주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고 설명했다. 전준위 관계자들에 따르면 회의 과정에서 “권리당원의 몫을 더 키워야 한다”는 주장도 일부 있었다고 한다.

민주당은 또 당 지도부 구성을 대표 1명, 선출직 최고위원 5명, 지명직 최고위원 2명으로 정했다. 선출직 최고위원에는 적어도 1명 이상의 여성이 포함되도록 했다. 경선 결과 1~5위에 여성이 없으면, 6위 이하 후보 중 가장 많이 득표한 여성 후보가 자동으로 5위가 되는 것이다.

경선 방식은 기존 17개 시·도별 순회 경선이 아닌 8·25 전대 1회 투표로 바꿨다. 당 중앙위는 지역별 순회 연설(8월 3~18일)이 시작되기 전 예비경선을 치른다. 당 대표 후보를 3명으로, 최고위원 후보를 8명으로 압축하는 컷오프 절차다. 김 의원은 “후보간 이전투구를 방지하는 목적이라기 보다는 선거의 대표성을 강화하자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더불어민주당 지역위원장 공모 알림. [사진 더불어민주당 홈페이지 캡처]

더불어민주당 지역위원장 공모 알림. [사진 더불어민주당 홈페이지 캡처]

한편 민주당은 전국 253개 지역위원회 위원장 공모를 이날 오후 5시에 마감했다. 27일부터 3일간 온라인 접수로 진행된 지역위원장 공모는 2020년 국회의원 총선거의 밑그림을 그리는 당내 ‘전초전’이다.

민주당은 다음 달 중순까지 지역위원장 선임 절차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통상 현역 의원이 위원장으로 있는 지역은 공모자가 단수여서 경쟁 구도가 아닌 경우가 많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지역은 적게는 2, 3명에서 많게는 7, 8명이 공모 신청을 한다.

이번 공모의 관심사 중 하나는 기존 지역위원장이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청와대와 정부 등에 입성한 곳의 위원장을 어떻게 할 지다. 이들 지역은 그동안 위원장 직무대행 체제가 유지됐다.

지역위원장을 맡다가 청와대와 정부에 근무 중인 인사들은 백원우 청와대 민정비서관(시흥갑), 이용선 시민사회수석(서울 양천을), 정태호 일자리수석(서울 관악을), 한병도 정무수석(전북 익산을), 나소열 자치분권 비서관(충남 보령·서천), 조한기 제1부속비서관(충남 서산·태안) 등이다.

당내에서는 이들 지역에 직무대행을 임명해야 한다는 의견과 새 지역위원장을 선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동시에 나오고 있다. 당내 진영에 따라 미묘하게 입장 차이를 보이는데, 친문재인 진영은 청와대와 정부에서 일하는 전직 위원장을 배려하기 위해 직무대행 체제를, 비문계는 새 위원장 선출을 요구하고 있다.

김승현·하준호 기자 shy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