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편적 교육복지 확대해야 … 중·고교 교복 무상지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0면

약속! 민선 7기 │ 이성문 연제구청장 당선인

연제구청장 이성문 당선인. [사진 당선인 사무실]

연제구청장 이성문 당선인. [사진 당선인 사무실]

“주민이 정치에 참여하면 생활이 바뀔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습니다. 대단위 개발 공약 대신 실현 가능한 공약을 제시한 것도 이 때문입니다.”

이성문(44·사진) 연제구청장 당선인이 인권 변호사에서 정치인으로 변신한 이유다. 이 당선인은 “변호사로서 사회 갈등을 풀고 변화를 끌어내는 데 한계가 있었다”며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약자를 돕고 주민과 소통하는 새로운 행정을 보여주고자 정치에 뛰어들었다”고 말했다.

인구 20만 명인 연제구는 부산의 16개 시·군 가운데 8번째로 인구가 많다. 1998년 부산시청이 연산동으로 이전하면서 인구 유입이 늘고 있지만 산업기반 등은 취약하다. 이 당선인은 유휴부지가 없는 연제구 특성을 고려해 대단위 개발 공약보다 미래 세대에 투자하고 실현 가능한 정책에 집중할 방침이다.

이 당선인은 당장 중·고교 무상교복 지원을 추진한다. 연제구 2200여 명의 중·고생에게 교복을 무상지원하려면 연간 6억5470만원이 필요하다. 연제구의 연간 예비비 554억원 가운데 일부를 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해 공약 1순위로 내걸었다. 그는 “보편적 교육복지 확대는 필요하다”며 “미래 먹거리를 개발하는 인재육성을 위해 교육에 투자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 당선인은 연제구의 교육 활성화를 위해 공공어린이집 동별 1곳 설치, 자연 친화적 놀이터 조성, 장난감 도서관 확충 등을 공약했다.

“정치 초보가 아니냐”는 물음에는 “오히려 강점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내가 젊어 연제구 공무원과 편하게 소통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또 “주민과 소통하기 위해 청와대의 국민청원제도처럼 주민 1000명이 물으면 구청장이 직접 답변하는 구민 청원제도를 도입하겠다”고 덧붙였다. 전체 예산 가운데 1%의 사용처를 주민이 결정하는 주민참여예산제도도 시행할 계획이다.

연제구의 핵심상권인 연산교차로 일대를 음식과 의료시설 특화 거리로 지정해 지역경제 활성화도 꾀한다. 또 전통시장의 놀리는 공간을 청년 창업공간으로 임대해 골목상권에 활기를 불어넣을 생각이다.

이 당선인은 “주민과는 역지사지의 자세로 소통하고 지역 문제를 해결하겠다”며 “이전까지 본 적 없는 새로운 구청장 모습을 보여주겠다”고 강조했다.

이은지 기자 lee.eunji2@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