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ㆍ군ㆍ구 여성 공무원 18.5% “최근 3년간 성희롱ㆍ성폭력 피해”

중앙일보

입력

[중앙포토]

[중앙포토]

기초지방자치단체 공무원 10명 중 1명 꼴로 최근 3년간 직장 내에서 성희롱ㆍ성폭력 피해를 경험했다는 실태 조사 결과가 나왔다. 여성 공무원의 경우 5명 중 1명 꼴이었다. 피해자 대부분은 그냥 참고 넘긴 것으로 드러났다.

여성가족부는 전국 226개 시ㆍ군ㆍ구 공무원을 대상으로 성희롱ㆍ성폭력 피해경험과 사건 발생 뒤 대처 등에 대해 온라인 조사를 실시한 결과, 공무원 11.1%가 3년간 직접적인 성희롱ㆍ성폭력 피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17일 밝혔다.

이는 지난 4월 발표한 중앙부처ㆍ광역지자체ㆍ공직유관단체 종사자 온라인 조사 결과(6.8%가 경험)에 비해 4.3%포인트 높은 수치다. 여가부는 “기초지자체의 조직문화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이번 조사는 기초지자체 공무원 26만2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4월 11일부터 지난달 4일까지 실시됐다. 조사 대상자의 41.3%인 10만8000명이 응답했다. 기초지자체 공무원 전체를 대상으로 성희롱ㆍ성폭력 실태를 조사한 것은 처음이다.

조사 결과 남성 2.8%, 여성 18.5%는 성희롱ㆍ성폭력 피해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시ㆍ도별로는 서울(12.8%), 경기(12.1%), 충북(12.1%)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았고, 제주(6.9%), 대구(8.5%), 대전(8.9%) 등이 낮은 편이었다.

성희롱ㆍ성폭력 사건 발생 후 대처에 대해서는 ‘그냥 참고 넘어갔다’는 답이 74.5%로 가장 많았다. ‘직장 내 동료나 선후배에게 의논했다’는 응답은 19.6%였고, ‘직장 내 공식 기구를 통해 신고했다’는 3.9%에 그쳤다.

도움을 요청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분위기를 깨거나 나만 이상한 사람이 될 것 같아서’라는 답변이 많이 나왔다.

기관 내 성희롱ㆍ성폭력 예방조치에 대한 만족도와 신뢰도도 기초지자체가 공공부문보다 떨어졌다.

‘기관장과 고위직의 성희롱ㆍ성폭력 예방 노력’, ‘고충상담 창구 운영’, ‘사건처리에 대한 신뢰도’를 묻는 질문에 ‘매우 그렇다’라고 답변한 비율도 1차 공공부문보다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여가부는 각 시ㆍ군ㆍ구에 이번 조사 결과를 통보하고 기관 내 성희롱ㆍ성폭력 실태 파악과 재발방지대책 수립을 촉구했다.

‘범정부 성희롱ㆍ성폭력 근절 추진점검단’의 단장을 맡고 있는 이숙진 여가부 차관은 “여가부는 사전조사 성격의 온라인 조사에 이어 현재 공공부문 및 기초지자체 특별점검을 실시 중”이라며 “앞으로 이 결과 등을 고려해 개별 기관별 심층점검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스더 기자 etoil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