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사정포 남북, 후방 40km 철수 추진…국방부 “논의된 바 없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북한 인민군이 지난 2013년 10월 30일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참관한 화력 타격 훈련에서 장사정포의 일종인 방사포(다연장포)를 쏘고 있다. [연합뉴스]

북한 인민군이 지난 2013년 10월 30일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참관한 화력 타격 훈련에서 장사정포의 일종인 방사포(다연장포)를 쏘고 있다. [연합뉴스]

국방부가 최근 남북 장성급 군사회담에서 남북이 ‘군사분계선’(MDL)에 배치된 북한의 장사정포를 후방으로 배치하는 방안을 논의했다는 보도와 관련해 ‘사실 무근’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지난 ‘4‧27 판문점 선언’에서 전쟁의 실질적 위험을 해소하기로 합의한바 향후 관련 논의 가능성은 열려있는 상황이다.

17일 연합뉴스는 복수 정부 고위 소식통을 인용해 지난 14일 판문점 통일각에서 열린 ‘제8차 장성급 군사회담’에서 MDL 인근에 배치된 북한의 장사정포를 후방으로 철수하는 문제가 회담 의제로 올랐다고 밝혔다.

남북이 4‧27 판문점 선언의 군사 분야 합의를 이행하는 차원에서 여러 안을 제안했고 이 가운데 하나로 북한의 장사정포를 MDL에서 30~40km 후방으로 철수하는 안을 북측에 제시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국방부는 “(남북 장성급 군사회담) 속기록‧회의록을 살펴본 결과 장사정포 이야기는 꺼내지 않았다”며 “(당시 회담에 참석한) 북측 대표와 논의할 수 있는 의제도 아니다”고 밝혔다.

국방부가 이번 회담에서 북한 장사정포 철수 논의는 없었다고 밝혔지만, 장사정포가 전방군단에 집중적으로 배치돼 있어 수도권에 위협이 돼온 만큼 남북 군 당국간 후속 논의에서 구체화할 가능성은 있다.

여기에 지난 4·27 판문점선언에서 양 정상이 군사적 긴장상태를 완화하고 전쟁 위험을 실질적으로 해소하기 위해 공동으로 노력해 나갈 것을 천명했기 때문에 후속 회담에서 이같은 논의가 의제로 오를 수도 있는 것이다.

실제 남북은 6~7월 추가 장성급 군사회담이나 군사당국 간 실무회담을 열고 후속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장사정포의 후방 철수의 경우 군비통제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남북 국방장관회담이 열려야 구체적인 논의가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국방장관회담의 일정이나 장소는 아직 확정된 바 없다.

현재 MDL 인근 북측지역에는 1000여 문의 각종 포가 배치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중 사거리 54km의 170mm 자주포 6개 대대와 사거리 60km의 240mm 방사포 10여 개 대대 330여 문이 수도권을 집적 겨냥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박광수 기자 park.kwangs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