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바다 없는 산골마을에 염전이? 괴산 ‘소금랜드’ 가보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8면

충북 괴산군 소금랜드 염전체험장에서 어린이들이 소금 수확 체험을 하고 있다. 전국에서 유일하게 바다가 없는 충북에는 소금랜드와 함께 내륙염전이라 불리는 폐소금물 처리 시설이 있다. [프리랜서 김성태]

충북 괴산군 소금랜드 염전체험장에서 어린이들이 소금 수확 체험을 하고 있다. 전국에서 유일하게 바다가 없는 충북에는 소금랜드와 함께 내륙염전이라 불리는 폐소금물 처리 시설이 있다. [프리랜서 김성태]

전국에서 유일하게 바다가 없는 충북의 산골마을에 소금을 만드는 염전(鹽田)이 있다. 7일 괴산군에 따르면 문광면 양곡리 문광저수지 일원에 건립한 소금랜드가 유치원·초등학생들의 체험학습 장소로 주목받고 있다. 이 시설은 지상 2층 규모로 소금과 김장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소금문화관과 바닷물염전체험, 절임배춧물 염전체험 등을 할 수 있다. 염전에 물을 대는 집수시설과 소금창고도 갖췄다. 2만7718㎡ 부지에 69억원을 들여 2016년 완공했다.

전국 첫 절임배추 상품화한 괴산 #폐 소금물 처리 위해 염전 만들어 #수확 모습 재현, 평소 체험장 활용 #김장 끝나는 연말엔 폐 소금물로 #연 80~100t 소금 생산해 농가 제공

최근 방문한 소금랜드에서 유치원생 40여 명이 염전 체험을 했다. 야외에 마련된 990㎡ 크기 염전에서 나무 밀대를 이리저리 휘저으며 “영미~ 영미. 더 빨리 밀어 영미”라는 소리를 지르며 소금을 모았다. 송영구(76) 소금랜드 체험지도담당은 “저염도의 바닷물을 증발시켜 27~30도의 소금꽃으로 만드는 염전을 재현한 곳”이라며 “‘대파’라고 하는 밀대를 이용해 소금을 모으고 바구니에 소금을 담는 체험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실내에서는 화로에 담긴 염도 25%인 소금물을 2~3분 정도 끓여 소금 결정체를 만드는 체험을 했다.

소금랜드 앞마당에는 한반도 모형을 한 수생식물원과 야생화·소나무 공원 등 가족 휴양 공간이 있다. 광개토태왕비를 똑같이 복원한 비석도 있다.

괴산군이 소금랜드를 건립하게 된 계기는 절임배추 영향이 컸다. 괴산군 배추 농가들은 1996년 절임배추를 가장 먼저 상품화하고 전국에 유통했다. 98년 절임배추 생산자협의회를 구성한 데 이어 2012년 절임배추를 전문으로 납품하는 영농조합법인을 설립했다. 매년 600여 농가에서 300억원 이상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하지만 절임배추 생산 과정에서 생긴 폐 소금물 처리는 골칫거리였다. 하천에 흘러 들어간 소금물이 환경오염을 시킨다는 지적이 나왔다. 그때 생각해낸 게 폐 소금물을 한데 모아 소금을 재생산해 제설·제초 작업에 쓰는 것이었다. 괴산군 농업기술센터는 2012년 이른바 ‘내륙 염전(1850㎡)’을 만들어 소금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이곳에서는 매년 12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 농가에서 폐 소금물을 수거해 연간 80~100t 정도의 소금을 생산해 농가와 학교에 무료로 나눠주고 있다. 이병애 괴산농업기술센터 작물환경팀장은 “재생 소금은 환경오염을 줄이고 제설 비용을 절약하는 등 효과적인 대안이 됐다”며 “우연히 만든 내륙염전이 소금랜드 건립까지 발전했다”고 말했다.

소금랜드는 염전을 볼 수 없는 내륙의 학생들과 문광저수지를 방문하는 가족 단위 방문객들이 찾는다. 매월 1000여 명이 방문한다. 하지만 실제 바닷물을 활용해 염전을 운영하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폐 소금물 염전체험도 김장이 끝나는 연말에나 가능하다. 염전 바닥에 소금을 뿌려놓고 수확하는 모습을 재현하는 수준이다. 괴산군 관계자는 “소금랜드 염전은 바닷물을 넣은 뒤 증발과정을 거쳐 일주일이 지나야 소금 수확 체험을 할 수 있다”며 “해안에 있는 염전처럼 운영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최종권 기자 choig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