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버닝'을 해석하는 숨은 코드 5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영화 '버닝' 한 장면. [사진 CGV 아트하우스]

영화 '버닝' 한 장면. [사진 CGV 아트하우스]

“‘버닝’은 시간을 들여 곱씹어봐야 하는 영화다.” 올해 ‘버닝’(감독 이창동)이 초청된 제71회 칸영화제 경쟁부문에서 심사위원장을 맡은 배우 케이트 블란쳇의 말이다. 영화 곳곳에 숨은 메타포 때문일까. 17일 개봉한 국내 관객 사이에서도 해석이 분분하다. 설득력 있게 회자되는 다섯 코드를 25일 서울 삼청동에서 만난 이창동 감독의 힌트와 함께 소개한다.

17일 개봉 '버닝' 해석 분분 #태극기부터 동성애까지

※ 주의! ‘버닝’ 결말에 대한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1. 포크너와 하루키의 대립
‘버닝’의 토대가 된 원작은 일본 소설가 무라카미 하루키 단편 『헛간을 태우다(Barn Burning)』이지만 영화에선 앞서 1939년 동명 소설을 발표한 미국 작가 윌리엄 포크너가 자주 언급된다. 무라카미의 원작은 부족함 없이 살아가는 유부남 소설가(영화에선 가난한 20대 작가지망생 종수(유아인 분)로 각색됐다)가 가깝게 지내던 젊은 여성을 통해 알게 된 남자에게서 위험한 취미를 고백받는 얘기다. 반면, 국내 『헛간 타오르다』란 제목으로 출간된 포크너 소설에선 세상의 고통에 분노한 주인공 소년의 아버지가 남의 헛간을 태운다.
이창동 감독은 ‘버닝’을 “하루키의 세계에 살고 있는 젊은 포크너의 이야기”라 요약했다. “저도 작가 출신으로서 포크너와 하루키의 대립이 흥미로웠어요. 세상은 점점 더 하루키 소설처럼 돼가는 것 같아요. 그런 삶의 방식을 취하죠. 하지만, 이 시대 젊은이들에겐 아버지의 분노가 아들의 분노로 옮겨가는 포크너 소설의 얘기가 더 가깝다고 생각했습니다.”

'버닝'에 종수(유아인 분)의 아버지 역으로 깜짝 출연한 최승호 MBC 사장. 사장 취임 전 이뤄진 캐스팅에 대해 이창동 감독은 "어딘가 종수 아버지 같았다"고 이유를 말했다. [사진 CGV아트하우스]

'버닝'에 종수(유아인 분)의 아버지 역으로 깜짝 출연한 최승호 MBC 사장. 사장 취임 전 이뤄진 캐스팅에 대해 이창동 감독은 "어딘가 종수 아버지 같았다"고 이유를 말했다. [사진 CGV아트하우스]

제71회 칸영화제 현지 반응

2. 용산참사 그림
‘박하사탕’(1999)의 5.18 민주화운동, ‘시’(2010)의 밀양 여중생 성폭행 사건 등 이창동 감독은 연출작마다 사회적 비극이 낳은 파장을 이야기해왔다. ‘버닝’에도 그런 암시가 있다. 해미(전종서 분)의 실종에 연루된 정체불명 남자 벤(스티븐 연 분)을 미행하던 종수가 갤러리에서 마주하는 그림은 바로 용산참사를 담은 임옥상 화가의 ‘삼계화택-불’이다. 임 화가는 이 작품을 선보인 개인전에서 백남기 농민 물대포 사망 사건을 그린 ‘상선약수-물’도 함께 전시했다. 벤은 그림의 의미 따윈 아랑곳 않고 갤러리 안 식당에서 지인과 우아하게 식사를 이어간다. “벤은 남들에게 쓸데없을 만큼 선의를 베풀면서 누릴 것은 누립니다. 현실을 고발하는 그림조차 문화적으로 소비하죠. 이게 요즘 삶의 방식 같아요. 그가 즐겁게 식사하는 공간의 다른 한쪽엔 참사와 물대포가 있습니다.” 이창동 감독의 말이다.

'버닝'에서 종수가 임옥상 화가의 그림 '삼계화택-불'을 바라보는 장면. [사진 CGV아트하우스]

'버닝'에서 종수가 임옥상 화가의 그림 '삼계화택-불'을 바라보는 장면. [사진 CGV아트하우스]

3. 태극기 아래 자유의 춤
벤과 함께 경기도 파주 분단선에 인접한 종수의 시골집을 찾은 해미는 노을을 배경으로 자유로이 춤을 춘다. 이때 화면 한쪽에서 휘날리는 태극기가 눈길을 끈다. 이창동 감독은 “요즘은 태극기가 정치화‧이데올로기화됐다”고 운을 떼며 “거부할 수 없는 질서, 심지어 아버지 세대의 분노까지 태극기가 가진 코드를 정서적‧상징적으로 담았다”고 했다. 해미가 웃통을 벗는 것도 “프랑스 68혁명 등 깃발 아래서 웃통을 벗는 건 하나의 운동이고 맥락이었다”고. 다만, “이 장면에서 중요했던 건 두 남자 사이에서 해미만 홀로 삶의 의미를 구하는 춤을 추고 있다는 사실”이란 설명이다.

'버닝'에서 종수의 벤(스티븐 연 분)과 함께 종수의 시골집에 놀러 간 해미(전종서 분) [사진 CGV아트하우스]

'버닝'에서 종수의 벤(스티븐 연 분)과 함께 종수의 시골집에 놀러 간 해미(전종서 분) [사진 CGV아트하우스]

'버닝' 이창동 감독 말말말

4. 영화 후반부는 종수가 쓴 소설?
‘버닝’을 둘러싼 해석 중엔 종수가 영화에서 처음 소설을 쓰는 후반부 장면 이후에 이어지는 결말부 내용이 모두 종수의 극중 소설이란 것도 있다. 무엇을 써야 할지 몰랐던 작가지망생 종수가 작가가 되어가는 과정으로 영화 전체를 읽을 경우 제법 설득력이 있다. 이에 김형석 영화저널리스트는 실종된 해미의 방에서 종수가 무엇인가 쓰기 시작할 때 카메라가 방 밖으로 빠져나가 창틀(프레임) 속 종수의 모습을 보여준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전까진 종수의 시선으로 방안에서 창밖을 보던 카메라 시점이 이 순간 갑자기 바뀐다. 그는 “영화 속에 또 다른 프레임을 보여주는 미쟝센은 ‘액자구조’ 즉 이야기 속 이야기를 시각적으로 드러낼 때 흔히 쓰인다”고 귀띔했다.

5. 종수를 향한 벤의 감정  
벤이 종수에게 남다른 감정을 품고 있었다는 해석은 영화에 또 다른 차원을 열어준다. 단서를 던진 건 배우들이다. 스티븐 연은 해미가 실종된 뒤 종수가 혼자 벤의 집에 왔던 장면이 “가장 흥미로웠다”고 했다. “‘고양이 좋아하세요?’란 벤의 대사에 뭔가 많이 들어있는 것 같아요. 뭔가 끌어당기는 것, 미끼도 있죠. 그때 뒷모습만 보이는데 눈빛이 보였다면 아마 관객도 느낄 수 있겠죠.”
전종서는 이 장면에서 “벤이 종수를 쫓아와 ‘베이스를 느끼라’며 훅 들어오는 뉘앙스가 예사롭지 않았다”면서 “벤의 동성애 성향”을 제기했다. “결말에서도 벤이 종수를 끌어안는 듯했다”고 했다. 이에 스티븐 연은 다소 모호하지만 의미심장한 힌트를 던졌다.
“제 생각에 ‘버닝’의 진실은 인간애에 있어요. 외로운 세상에서 사람들은 누군가를 찾고 있죠. 종수를 만나려 홀로 외딴 교외까지 가는 벤의 모습은 쓸쓸해요. 이창동 감독님이 그래서 대단한 분인 것 같아요. 사회가 이해하지 못할 벤 같은 사람에게 ‘사랑’을 찾으려면 인간을 아주 깊이 들여다봐야 하잖아요.”

영화 '버닝'에서 아파트 욕실은 벤의 여러 비밀이 감춰진 공간이다. [사진 CGV아트하우스]

영화 '버닝'에서 아파트 욕실은 벤의 여러 비밀이 감춰진 공간이다. [사진 CGV아트하우스]

관련기사

나원정 기자 na.wonjeo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