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이낙연 총리가 5·18 기념사 읽다 울컥한 사연은

중앙일보

입력

이낙연 국무총리는 18일 오전 광주 국립 5ㆍ18 민주묘지에서 열린 제38주년 5ㆍ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해 기념사를 읽다가 말을 잊지 못했다. 이 총리는 “사랑하는”이라고 말한 뒤 5초 정도 침묵했다. 입은 떨렸고 눈시울이 붉어졌다. 그리곤 “광주ㆍ 전남 시도민 여러분”이라고 말을 이어가다가 다시 눈을 감고 눈물을 삼켰다.

518 민주화운동 38주년 기념식이 18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 18 민주묘지에서 열렸다. 이낙연 국무총리가 기념사를 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단

518 민주화운동 38주년 기념식이 18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 18 민주묘지에서 열렸다. 이낙연 국무총리가 기념사를 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단

이 총리가 울컥했던 건 그에게 광주가 특별한 의미이기 때문이다. 그는 전남 영광에서 태어났고, 중학생 때 광주로 유학을 떠나 광주북성중과 광주제일고를 졸업했다. 광주가 제2의 고향인 셈이다.

1980년 5ㆍ18 민주화운동이 일어났을 당시 그는 동아일보 기자였다. 당시 상황을 제대로 알리지 못했다는 건 부채 의식으로 남았다. 이 총리는 지난해 8월 5ㆍ18 민주화운동을 소재로 한 영화 ‘택시운전사’를 보고 “1980년 5월에는 외교를 담당하는 기자였다”면서 “광주를 보도하는 게 제 업무는 아니었다고 변명할 수 있다손 치더라도 (영화가) 많은 부채감을 일깨워줬다”고 말했다. 지난해 5월 인사청문회에서 기자 시절 전두환 전 대통령을 찬양하는 기사를 썼다는 지적에 대해선 “떳떳하지 않고 부끄럽다”며 “당시 정부 비판 기사를 썼다는 이유로 해직된 언론인들에게 죄송하다”고 말했다.

이 총리는 이날 기념사에 공을 들였다. 국무총리 공보실 관계자는 “이 총리의 얘기가 원고에 많이 들어갔다”며 “총리가 오늘 아침까지 직접 수정했다”고 전했다. 안도현 시인의 ‘그날은 절대로 쉽게 오지 않는다. 그날은 깨지고 박살나 온몸이 너덜너덜해진 다음에 온다’는 시구를 인용하기도 했다. 이어 이 총리는 “그날은 반드시 온다는 것을 믿는다"며 “5ㆍ18 민주화운동 이후 38년의 역사가 그것을 증명한다"고 말했다.

윤성민 기자 yoon.sungm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