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바다없는 산골마을에 웬 염전? 괴산 소금랜드 역발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영미~ 영미" 산골 염전 체험에 푹 빠진 아이들

산골마을 충북 괴산 문광면에 건립한 소금랜드 염전체험장에서 아이들이 소금 수확 체험을 하고 있다. 프리랜서 김성태

산골마을 충북 괴산 문광면에 건립한 소금랜드 염전체험장에서 아이들이 소금 수확 체험을 하고 있다. 프리랜서 김성태

지난 10일 충북 괴산군 문광면 양곡리 소금랜드. “영미~ 영미. 더 빨리 밀어 영미.” 야외에 마련된 990㎡ 크기 염전(鹽田)에서 유치원생 40여 명이 나무 밀대를 이리저리 휘저으며 하얀 소금을 모으는 소리가 들렸다. 실제 바닷물이 바닥에 깔리진 않았지만 염전에서 소금을 수확하는 모습 그대로였다. 송영구(76) 소금랜드 체험지도담당은 “저염도의 바닷물을 증발시켜 27~30도의 소금꽃으로 만드는 염전을 재현한 곳”이라며 “‘대파’라고 하는 밀대를 이용해 소금을 모으고 바구니에 소금을 담는 체험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실내 공간에서는 화로에 담긴 소금물을 증발시켜 소금을 만드는 체험이 한창이었다. 염도 25%인 소금물을 2~3분 정도 끊이자 소금 결정체가 보였다. 갓 만들어진 소금을 손으로 찍어 먹은 우소율(7)양은 “아이 짜. 진짜 소금이네”라며 웃었다.

소금랜드 염전에서 아이들이 '영미야'를 외치며 소금을 끌어 모으고 있다. 프리랜서 김성태

소금랜드 염전에서 아이들이 '영미야'를 외치며 소금을 끌어 모으고 있다. 프리랜서 김성태

전국에서 유일하게 바다가 없는 충북의 산골 마을에 염전이 들어섰다. 온통 산으로 둘러싸인 괴산에 건립한 소금랜드는 2016년 국비 등 69억원을 들여 문광저수지 일원 2만7718㎡ 부지에 조성됐다. 지상 2층 규모로 소금과 김장의 역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소금문화관과 바닷물염전체험, 절임배춧물 염전체험 등을 할 수 있다. 염전에 물을 대는 집수시설과 소금창고도 갖췄다.

소금랜드 앞 마당에는 한반도 모형을 한 수생식물원과 야생화 공원·소나무 공원·햇살 광장 등 가족 휴양 공간이 있다. 중국 지린(吉林)성 지안(集安)시에 있는 광개토태왕비(높이 6.39m)를 똑같이 복원한 비석도 있다. 비문 1775자도 그대로 새겨 넣었다.

소금랜드에 가면 화로를 달궈서 소금을 만드는 체험을 할 수 있다. 프리랜서 김성태

소금랜드에 가면 화로를 달궈서 소금을 만드는 체험을 할 수 있다. 프리랜서 김성태

괴산군이 소금랜드를 건립하게 된 계기는 절임배추 영향이 컸다. 괴산군 배추 농가들은 1996년 절임배추를 가장 먼저 상품화하고 전국에 유통했다고 한다. 98년 절임배추 생산자협의회를 구성한 데 이어 절임배추를 전문으로 납품하는 영농조합법인을 설립했다. 매년 600여 농가에서 300억원 이상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작황에 따라 시세 변동이 큰 생배추와 달리 절임배추는 농가들에 안정적인 수익을 가져다줬다.

"골칫덩이 폐 소금물 없애자"…내륙염전 만들어 

하지만 절임배추 생산 과정에서 생긴 폐 소금물 처리는 골칫거리였다. 하천에 흘러 들어간 소금물이 환경오염을 시킨다는 지적이 일었다. 그때 생각해낸 게 폐 소금물을 한데 모아 소금을 재생산해 제설·제초 작업에 쓰는 것이었다. 괴산군 농업기술센터는 2009년 이른바 ‘내륙 염전(1850㎡)’을 만들어 소금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손기용(오른쪽) 괴산시골절임배추 대표가 대형 절임통에서 절임배추를 보여주고 있다. 이 공장은 하루 최대 3t의 절임배추를 생산한다. [중앙포토]

손기용(오른쪽) 괴산시골절임배추 대표가 대형 절임통에서 절임배추를 보여주고 있다. 이 공장은 하루 최대 3t의 절임배추를 생산한다. [중앙포토]

이곳에서는 매년 12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 농가에서 폐 소금물을 수거해 연간 80~100t 정도의 소금을 생산해 농가와 학교에 무료로 나눠주고 있다. 이병애 괴산농업기술센터 작물환경팀장은 “재생 소금은 불순물이 많아 식용으로는 사용할 수 없고 제설작업이나 학교 운동장 다지기 등에 활용된다”며 “환경오염도 줄이고 재생 소금이 필요한 기관은 비용을 절약하는 등 일석이조의 효과를 보고 있다”고 말했다.

소금랜드에서 200여 m 떨어진 곳에는 대규모 소금창고가 있다. 연면적 1980㎡ 규모의 소금창고로 9000t의 소금을 3년간 보관할 수 있는 시설이다. 소금창고 운영은 괴산농협이 위탁을 맡았다. 농협이 전남 신안군에서 생산되는 질좋은 천일염을 대량 구매하고, 매년 2500~3000t씩 절임 배추 생산 농가와 발효식품농공단지, 생활협동조합 등에 공급한다.

절임배추 원조 괴산 문광면에서 지난해 가을 절임배추를 만들기 위해 쌓아둔 생배추 무더기. [중앙포토]

절임배추 원조 괴산 문광면에서 지난해 가을 절임배추를 만들기 위해 쌓아둔 생배추 무더기. [중앙포토]

내륙염전이 화제가 되자 괴산군은 소금랜드와 소금창고 건립을 구상했고, 이 아이디어가 2010년 농축산부 공모사업에 선정돼 이 시설을 만들었다. 소금랜드는 염전을 볼 수 없는 내륙의 유치원·초등학생들의 체험학습 장소로 활용되고 있다. 문광저수지와 인근 은행나무길을 방문하는 가족단위 방문객들도 찾는다고 한다. 올해 3~4월 2000여 명이 방문했다. 하지만 실제 바닷물을 활용해 염전을 운영하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폐 소금물 염전체험도 김장이 끝나는 연말에나 가능하다. 염전 바닥에 소금을 뿌려놓고 수확하는 모습을 재현하는 수준이다. 괴산군 관계자는 “소금랜드 염전은 바닷물을 넣은 뒤 증발과정을 거쳐 일주일이 지나야 소금 수확 체험을 할 수 있다”며 “해안에 있는 염전처럼 운영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괴산 소금랜드 전경. 프리랜서 김성태

괴산 소금랜드 전경. 프리랜서 김성태

괴산=최종권 기자 choig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