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댓글조작사건 추가 구속영장신청…운영비 등 의문밝히나

중앙일보

입력

닉네임 드루킹을 사용하는 김모씨가 운영중인 것으로 알려진 파주시 출판단지내 출판사. 17일 출판사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 난간에 '댓글조작'을 비방하는 문구가 걸려 있다. 김상선 기자

닉네임 드루킹을 사용하는 김모씨가 운영중인 것으로 알려진 파주시 출판단지내 출판사. 17일 출판사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 난간에 '댓글조작'을 비방하는 문구가 걸려 있다. 김상선 기자

'민주당원 댓글조작 사건'을 수사 중인 경찰은 주범인 '드루킹' 김모(49ㆍ구속)씨의 지시를 받고 매크로를 입수한 박모(30)씨에게 18일 사전 구속영장을 신청했다고 밝혔다.

박씨는 이전에 구속된 김씨 등 3명과 마찬가지로 네이버의 평창겨울올림픽 여자아이스하키 남북 단일팀 구성 관련 기사에 달린 "문체부 청와대 여당 다 실수하는 거다. 국민들이 뿔났다", "땀 흘린 선수들이 무슨 죄냐"는 댓글에 매크로 프로그램을 활용, 공감 수를 조작한 혐의를 받고 있다.

박씨는 김씨가 공동대표로 있던 파주출판단지 내 느릅나무 출판사가 운영한 천연비누업체 대표다. 지난 1월 15일 김씨의 지시로 매크로 프로그램을 구입한 것으로 알려진 박씨는 김씨가 운영한 '경제적 공진화를 위한 모임(경공모)' 에서 '서유기'라는 필명으로 활동했다. 이 때문에 경찰은 박씨가 댓글조작의 근거지였던 출판사 느릅나무와 경공모 운영 자금의 출처를 알 것으로 보고 있다.

경찰관계자는 "혐의가 확실하고, 증거 인멸 및 도주 우려가 있어 사전 구속영장을 신청하게 됐다"고 말했다.

경찰은 2개 팀(13명)이 담당하던 이번 사건에 2개 팀(12명)을 추가로 투입, 기존 사이버수사 인력에 지능범죄수사대 범죄수익추적수사팀(5명)도 추가 투입했다. 올해 1월 전에도 이들이 매크로 프로그램을 통한 불법 행위를 했는지, 왜 공감 수를 조작했는지 등을 수사 중인 경찰은 계좌 추적과 금융거래 내역 및 회계 분석을 통해 이들의 자금 출처를 밝힐 계획이다.

여성국 기자 yu.sungku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