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중국 추진 보도된 남태평양 군사기지, 우주항공센터 가능성”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중국이 오스트레일리아 동부 해안에서 2000㎞ 떨어진 남태평양의 소국 바누아투에 이중 용도의 군사기지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중국이 남태평양의 작은 섬 바누아투에 군사기지 건설을 추진해 미국 등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그래픽=연합뉴스]

중국이 남태평양의 작은 섬 바누아투에 군사기지 건설을 추진해 미국 등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그래픽=연합뉴스]

아프리카 지부티에 이어 중국의 두 번째 해외 군사기지가 될 바누아투 기지 추진설은 지난 9일 오스트레일리아 미디어 그룹 페어팩스 미디어 산하의 시드니모닝헤럴드(SMH)의 폭로로 드러났다. SMH는 9일 “중국과 바누아투 정부가 군사기지 건설을 위한 초보적인 논의에 들어갔다”며 “오스트레일리아 문턱에 중국 군사기지가 들어서는 문제를 놓고 미국과 호주 고위급 채널이 논의하기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바누아투·중국 부인 불구 “미·일·호주·인도 4개국 연맹 대항용”

보도가 나오자 중국과 바누아투 정부는 적극적으로 부인했다.
겅솽(耿爽)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0일 브리핑에서 “거짓 뉴스”라며 “바누아투 외교부 장관이 오늘 언론 인터뷰에서 이미 분명히 밝혔다”고 해명했다. 중국 국방부도 나섰다. 런궈창(任國强) 국방부 대변인은 10일 “호주 언론의 보도는 사실과 완전히 부합하지 않는다”라며 부정했다. 랠프 레겐바누 바누아투 외교부 장관은 호주 언론에 “바누아투 정부 누구도 중국 군사기지에 대해 논의한 바 없다”며 “우리는 비동맹국가로 군사화나 영토 내 어떤 종류의 군사기지에 관심 없다”고 말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맬컴 턴불 호주 총리는 10일 기자회견에서 “바누아투 외교부 장관이 그런(군사기지 건설) 요청은 없었다고 확인했다”면서 “태평양의 평화와 안정 유지는 우리에게 가장 중요하며 외교 정책 백서의 최고 우선순위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양국 정부의 공식 부정에도 불구하고 중국이 바누아투에 우주 위성 추적 센터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11일 보도했다. 중국 즈위안(知遠)전략방무연구소의저우천밍(周晨鳴) 연구원은 “바누아투는 군사기지에 적합하지 않다”면서도 “하지만 중국은 더 많은 로켓 실험을 계획하고 있어 (추진체가) 낙하하는 남태평양에 감시 통제 센터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중국은 2030년대 유인 달 탐험을 위한 창청(長程)-9호 로켓 실험을 예정하고 있다.

인도 태평양 일대의 중국, 미국, 인도의 군사기지와 예정지 [출처=시드니모닝헤럴드]

인도 태평양 일대의 중국, 미국, 인도의 군사기지와 예정지 [출처=시드니모닝헤럴드]

남태평양의 소국 비누아투의 해외 부채 증가 추세. [출처=시드니모닝헤럴드]

남태평양의 소국 비누아투의 해외 부채 증가 추세. [출처=시드니모닝헤럴드]

중국의 아프리카 지부티 군사기지 조감도 [출처=시드니모닝헤럴드]

중국의 아프리카 지부티 군사기지 조감도 [출처=시드니모닝헤럴드]

황둥(黃東) 마카오국제군사학회 회장은 “중국이 호주에서 2000㎞ 인근의 바누아투에 우주 추적 센터를 건설할 가능성이 있다”며 “이 시설은 잠재적으로 미국과 가까운 동맹국인 호주와 뉴질랜드 인근에서 군사용 첩보 플랫폼으로 전용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우주 추적이나 위성 원격 측정 기지가 바누아투의 동의가 필요한 시설에 들어설 가능성도 있다. 고 스위 린 콜린 싱가포르 난양공대 책임연구원은 “중국의 재정·기술적 지원으로 감시 설비를 만들 가능성이 있다”며 “유일한 장애물은 정치뿐인데 민간, 군사 이중 용도 시설은 구분이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은 바누아투에 그동안 막대한 재정적 지원으로 공을 들여왔다. 인구 27만 명의 소국에 새로운 정부 청사와 부두, 공항 개선 공사에 자금을 지원했다. 익명을 요청한 베이징의 군사 전문가는 SCMP에 “바누아투에 이중 용도의 시설 건설은 중국이 미국·일본·호주·인도 4개국 연맹에 대항하는 것을 도와줄 것”이라며 “미국 역시 이 지역에 많은 우주 센터를 구축했다”고 지적했다.

중국은 현재 태평양 섬나라 중 8개 국가와 국교를 수립했다. 2006년부터 2016년 사이에 태평양 국가에 총 17억8000만 달러(1조 9000억원)의 원조를 제공했다. 지난 1월 콘세타피에르반티-웰스 호주 국제발전부 장관은 “중국의 남태평양 섬나라의 인프라 건설은 가격은 비싸지만, 실제 용도는 없는 ‘상아 프로젝트’에 불과하며 불리한 금융 부채를 떠안기고 있다”며 “태평양 국가들이 중국의 차관을 상환해야 할 때 어떤 결과가 발생할지 알 수 없다”고 우려했다.
베이징=신경진 특파원 shin.kyungj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